[거리 미술관 속으로] <36> 연세빌딩앞 '시간-1993'
[서울신문]어딘지 모르게 칙칙한 느낌이 강한 서울역 주변이 최근 몇년 사이 밝은 이미지로 바뀌고 있다. 서울시티타워, 대우건설빌딩,GS건설로 이어지는 스카이라인을 주도하는 건물 중 하나가 연세재단 세브란스빌딩이다.
1988년 오래된 세브란스빌딩이 철거되고, 현대식의 푸른 새 건물이 준공되면서 이 앞에는 연세대가 추구한 100년의 향학열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세워졌다. 홍익대 조소과 이형우(52) 교수의 작품,'시간-1993'(1993년,300×130㎝)이다.
색색의 옷을 입은 원뿔형의 이 조형물은 유독 눈에 띄었다. 일각에서는 "회색에 둘러싸인 주변에 활기를 불어넣는다."고 평가했고, 또 다른 한편에서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알 수 없다."고 물음표를 달았다.
1981년 홍익 조소과를 졸업하고,1986년까지 이탈리아 로마와 프랑스 파리의 국립미술학교 조각과에서 수학하고 돌아온 이 교수는 "조형물을 의뢰받은 때가 연세대 100주년 즈음이었기 때문에 학교의 역사를 시간의 흔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고민했다."고 떠올렸다.
작품의 형태감을 중시하는 작업으로 잘 알려져 있는 이 교수는 "단순하지만 기하학적인 형태에 역사와 시간을 접목하는 상징물을 구상했다."고 설명했다.
'연세'의 이응(ㅇ)과 시옷(ㅅ)을 의미하는 원형과 삼각형을 큰 틀로 삼아 원뿔 형태를 잡았다.'만물의 근원은 수(數)'라는 피타고라스의 개념과 시간을 접목시켜 6,12,24의 코드를 넣었다. 원뿔 주변에는 12개의 화강석을 두르고,24개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벽면을 만들었다. 이 스테인리스 스틸에는 빨강, 노랑, 파랑, 초록 등 6가지 밝은 색상으로 도색해 생기를 불어넣었다.24각이 모이는 원뿔의 꼭대기는 대학이 추구하는 향학의 끝이다.
역사와 시간을 고스란히 담은 이 조형물 곳곳에도 세월의 주름이 지면서 조만간 보수에 들어갈 예정이다.'KTX 서울역'의 변화에 발맞춰 이 조형물은 또 어떻게 변신할지 궁금하다.
글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