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 "KBS 사장 임면권 대통령에 있어"
"1단계 민영화 대상 공기업 5~6개"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 박형준 청와대 홍보기획관은 8일 논란이 되고 있는 KBS 정연주 사장의 거취 문제와 관련, "KBS 사장은 다른 공기업과 마찬가지로 임명권자가 해임권을 갖고 있다는 게 주된 법리적 해석"이라고 말했다.
박 기획관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시사프로그램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 출연, "정부의 기본 입장은 KBS 사장의 임명권은 대통령이 갖고 있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박 기획관은 또 이날 KBS 이사회가 임시회를 열어 정 사장에 대한 해임제청안을 의결할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KBS 이사회의 결정을 검토한 후 대통령이 결정할 것"이라면서 "지금 제기된 여러가지 경영상 부실이나 비리가 이유있다고 판단될 때 해임요구 제청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금의 문제는 KBS의 정상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데서 출발한다"고 지적한 뒤 "국가 기간방송이 국가권력과 대립하는 상황은 국정운영에 바람직하지 않고, 공영방송이 정권도구로 쓰이는 것도 맞지 않다"면서 "KBS는 지난 정부에서 코드인사로 선임됐고 그런 문제를 정상화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박 기획관은 이어 오는 11일로 예정된 공기업 선진화 방안 1단계 조치와 관련, "민영화 대상은 현재로서는 대여섯개 정도 되지 않겠나 생각한다"면서 "금융 및 투자 관련 기관들은 다른 민간 기업들이 잘하고 있는 분야들이어서 그런 부분은 민영화하는 것으로 잡혀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산업은행 민영화는 1단계에 포함된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머지않은 시기에 박차를 가하게 될 것"이라면서 "신문발전위원회나 언론재단, 신문유통원 등 일부 언론 관련 기관들도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통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 통합하려고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박 기획관은 이밖에 지난 6일 한미정상회담에서의 아프가니스탄 파병문제 논의 여부에 대해 "청와대의 분명한 입장은 공식요청을 받은 바도 없고 그 부분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상회담에서) 파병이라는 표현이 나온 적이 없다"고 재차 확인한 뒤 "비전투적 분야의 지원에 대해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언급한 적 없다"면서 "지금까지 아프간 파병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humane@yna.co.kr
<※마음대로 퍼가고 무료로 즐기는 "연합뉴스 포토 매거진">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실시간 올림픽뉴스는 LGT M-Sports와 함께 **7070+Ez-i>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故장제원 아들 노엘 "우울하고 비통한 시간…더 치열하게 살겠다" | 연합뉴스
- 병사 징계기록, 전역할 때 지워준다…전역자에도 소급 적용 | 연합뉴스
- LA다저스 만난 트럼프, 한국계 에드먼에 "시리즈 MVP…재능많아" | 연합뉴스
- 빙판서 응원 율동하는 그룹 총수…"아내가 말려도 열심히 했죠" | 연합뉴스
- 이철규 의원 아들, 마약 정밀검사서 대마 양성 반응 | 연합뉴스
- 80대 자산가 재혼 2개월 뒤 사망…재혼녀 56억 인출 사기 무혐의 | 연합뉴스
- [팩트체크] '옥동자니깐'…아기띠가 100만원 넘는다? | 연합뉴스
- 노래방서 여성 살해하고 야산에 유기한 종업원 "혐의 인정" | 연합뉴스
- "개가 뛰어내려" 타인 반려견 트렁크 연 채 싣고가다 죽게 해 | 연합뉴스
- "조지호, '포고령 안따르면 우리가 체포된다' 해" 경찰간부 증언(종합)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