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1개당 방송장비 1500억..일본 업체만 배불린다

백인성 기자 2011. 1. 4. 21: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도채널 방송장비 500억방통위 "국산도입 논의하겠다"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 채널 사업자가 선정됐지만 기술경쟁력을 지닌 국내 업체가 많지 않아 방송장비 대부분을 일본 업체들이 공급할 처지에 놓였다. 종편 선정에 따른 첫 경제적 '과실'을 국내 기업이 아닌 일본 업체가 차지하게 된 것이다.

4일 한국방송기술산업협회(KBTA)에 따르면 2011년 국내 방송장비 시장 규모는 지난해 1조9000억원보다 40%가량 늘어난 2조7000억원가량으로 전망됐다. 종합편성채널 1개 업체당 1500여억원, 보도채널은 500여억원의 장비 투자가 이뤄질 경우 7000억원가량의 새 시장이 생기는 셈이다.

하지만 이 시장에서 국내 업체가 차지할 몫은 미미할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카메라 등 국내 방송장비 시장의 80%가량을 소니와 파나소닉 등 일본 제품이 석권하고 있고, 국내 제품 시장점유율은 19.3%이다. 특히 콘텐츠 제작의 핵심인 카메라 등 영상제작장비 국산화율은 5%에 불과하다.

고화질(HD) 자막기와 모니터 등 일부 제작장비만 국산이 사용된다. 반면 일본 업체들은 방송용 카메라를 비롯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분야 제품을 장악하고 있다.

오디오 등 음향장비도 글로벌 메이커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다. 이와 달리 국내 제조사들은 자본금 5억원 이하 기업들이 절반 이상(54%)을 차지하는 등 '구멍가게' 수준이다.

핵심 장비를 외국산에 의존할 경우 라이선스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늘어난다.

기기 호환 문제로 같은 업체 장비를 쓸 수밖에 없어 '시장 종속'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지난해 140억원의 방송장비 개발비용을 지원하고 '장비인증센터'를 마련해 국산 장비 개발 활성화에 나섰지만 실효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방송에 처음 나서는 종편이나 보도채널은 안전한 방송을 원하기 때문에 기술력과 운용 경험이 축적된 외국업체 장비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번 종편·보도채널 선정 때 '국내 산업 기여도'에 25점의 가점을 부여하고 일부 채널로부터 국산 장비를 30% 이상 쓰겠다는 약속을 받아냈지만 제대로 지켜질지는 미지수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달 내 종편 등 방송사 대표와 기술부문 책임자, 제조사가 모여 국내 장비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 백인성 기자 fxman@kyunghyang.com >

[미디어로그] 조중동의 시대 - 2011년 미디어와 한국사회

[미디어로그] 스마트TV시대에 '종편채널' 난센스

[미디어로그] 기사모음-종편 논란 따라잡기

[선대인의 불량사회] 조중동매 종편 선정에 대한 짧은 논평

공식 SNS 계정 [경향 트위터][미투데이][페이스북][세상과 경향의 소통 Khross]-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