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1개당 방송장비 1500억..일본 업체만 배불린다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 채널 사업자가 선정됐지만 기술경쟁력을 지닌 국내 업체가 많지 않아 방송장비 대부분을 일본 업체들이 공급할 처지에 놓였다. 종편 선정에 따른 첫 경제적 '과실'을 국내 기업이 아닌 일본 업체가 차지하게 된 것이다.
4일 한국방송기술산업협회(KBTA)에 따르면 2011년 국내 방송장비 시장 규모는 지난해 1조9000억원보다 40%가량 늘어난 2조7000억원가량으로 전망됐다. 종합편성채널 1개 업체당 1500여억원, 보도채널은 500여억원의 장비 투자가 이뤄질 경우 7000억원가량의 새 시장이 생기는 셈이다.
하지만 이 시장에서 국내 업체가 차지할 몫은 미미할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카메라 등 국내 방송장비 시장의 80%가량을 소니와 파나소닉 등 일본 제품이 석권하고 있고, 국내 제품 시장점유율은 19.3%이다. 특히 콘텐츠 제작의 핵심인 카메라 등 영상제작장비 국산화율은 5%에 불과하다.
고화질(HD) 자막기와 모니터 등 일부 제작장비만 국산이 사용된다. 반면 일본 업체들은 방송용 카메라를 비롯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분야 제품을 장악하고 있다.
오디오 등 음향장비도 글로벌 메이커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다. 이와 달리 국내 제조사들은 자본금 5억원 이하 기업들이 절반 이상(54%)을 차지하는 등 '구멍가게' 수준이다.
핵심 장비를 외국산에 의존할 경우 라이선스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늘어난다.
기기 호환 문제로 같은 업체 장비를 쓸 수밖에 없어 '시장 종속'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지난해 140억원의 방송장비 개발비용을 지원하고 '장비인증센터'를 마련해 국산 장비 개발 활성화에 나섰지만 실효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방송에 처음 나서는 종편이나 보도채널은 안전한 방송을 원하기 때문에 기술력과 운용 경험이 축적된 외국업체 장비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번 종편·보도채널 선정 때 '국내 산업 기여도'에 25점의 가점을 부여하고 일부 채널로부터 국산 장비를 30% 이상 쓰겠다는 약속을 받아냈지만 제대로 지켜질지는 미지수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달 내 종편 등 방송사 대표와 기술부문 책임자, 제조사가 모여 국내 장비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 백인성 기자 fxman@kyunghyang.com >
[미디어로그] 조중동의 시대 - 2011년 미디어와 한국사회
[미디어로그] 스마트TV시대에 '종편채널' 난센스
[미디어로그] 기사모음-종편 논란 따라잡기
[선대인의 불량사회] 조중동매 종편 선정에 대한 짧은 논평
공식 SNS 계정 [경향 트위터][미투데이][페이스북][세상과 경향의 소통 Khross]-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존도 불확실한데.." 생산유발·일자리 사실상 '허구'
- "을지병원 보도채널 주주 참여 위법"
- [미디어 칼럼]종편, 잔치는 끝났다
- 파면 10일 만에 법정···윤석열, 오전 10시 ‘내란 우두머리’ 혐의 첫 재판
- 장하준 “한국, 트럼프 비위 맞추기 그만둬야…미국에 매달리면 봉변당할 것”
- 교육격차 해소한다던 ‘서울런’…“축! 서울대 19명” 황당 현수막
- 관세 폭탄 재확인한 트럼프 “전자제품 면제 아니다…누구도 안 봐줄 것”
- 구속취소에 재판정 촬영도 불허…‘윤석열 봐주기’ 지귀연 재판부에 커지는 비판
- [단독]영화 ‘기생충’의 그곳, 14㎡가 만들어낸 재개발의 ‘기적’
- [단독]‘명태균식 업체’ 퇴출될까…선관위, 여론조사기관 등급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