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려야한다' 패러디 기사 쓴 언론에..정부 '광고 안해'
광고가 빠진 이유는 청와대가 앞서 <국민일보>에 출고된 '박근혜 '살려야 한다' 사진 패러디 봇물'이라는 제목의 기사에 불만을 품은 탓으로 보인다.
이에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은 이날 '메르스 보도를 광고로 길들이겠다는 청와대'라는 성명을 발표하고, 청와대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언론노조에 따르면, 지난 16일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이 국민일보 정치부장과 편집국장에 전화를 걸어 메르스 보도를 문제 삼았다
김성우 홍보수석이 박현동 편집국장에게 “이게 기사가 되느냐”고 했고, 이에 박 편집국장은 “기사가 되는지는 우리가 판단한다”고 답했다고 한다.
언론노조는 "청와대 홍보수석이 기사를 문제삼아 편집국장에게 직접 전화한 것도 문제지만 이후 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했다"며, "19일 자로 예정됐던 정부 부처의 ‘메르스 관련 광고’가 빠져 버린 것이다"고 밝혔다.
국민일보지부 측에 따르면 18일 정부광고 대행업무를 하는 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이 <국민일보> 측에 “광고를 취소하겠다”고 했고, 이는 광고주인 정부의 입장이라고 전했다.
또 보건복지부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광고를 집행한다고 회피했고, 문체부 고위 관계자는 “우리는 아무 힘이 없다”, 청와대 김 수석은 “나는 모르는 일”이라고 책임을 돌렸다.
언론노조는 "누가 봐도 이상하지 않은가? 함께 이겨내겠다는 믿음을 말하면서 ‘정부 대처를 꼬집는 언론’은 배제하겠다는 식"이라면서 " 이는 과거 7~80년대 비판적인 기사에 대한 광고 탄압이 아니고 뭔가"라고 한탄했다.
김환균 언론노조 위원장은 "이번 일이 또 하나의 언론탄압 행위가 아니었으면 한다. 심각한 메르스 사태 앞에서 언론탄압이라는 말도 안 되는 행태를 벌이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지만 아래의 내용을 반드시 짚고 가겠다"고 강조했다.
언론노조는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에게 "<국민일보> 보도국장에게 왜 전화를 했는지, 누구의 지시로 했는지, 본인이 판단하고 전화를 했는지, 평소에도 기사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언론사 편집국장에게 전화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답해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이어 청와대를 향해서는 "지금 국민들 사이에 온갖 괴담은 물론 심지어 ‘메르스 퇴치’ 부적까지 돌고 있다"며 "이유가 어디에서 왔다고 보는가. 여기에 정부 잘못은 없다고 보는가. 틀어막는다고 될 문제인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길 바란다"고 했다.
또 김병호 언론진흥재단 이사장에게는 "어느 부처의 누구에게 연락을 받아 <국민일보> 광고 집행이 빠지게 됐는지 소상히 밝혀야 한다"고 했다.
[CBS노컷뉴스 유연석 기자] yooys@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朴 "감염병 방역체계 근본적으로 다시 짤 것"
- '메르스 사태 영향' 대통령 지지율 29%.. '취임후 최저수준'
- [단독] 울산시 메르스 감염의심자 숫자 조작 의혹
- 돌아선 김무성, 고립무원 유승민..여당 투톱에 균열조짐?
- "朴 정권, 사이비언론 핑계로 포털장악 나서나"
- [뒤끝작렬] 朴정부 경찰수장 수난시대…자업자득인가
- [뒤끝작렬] 스러진 DJ의 장남과 공허한 '좌파 독재'
- 문 대통령 "김정은 위원장에게 핵포기하고 경제 택해야 얘기했다"
- 가까스로 살아난 '패스트트랙'…향후 정국과 변수는?
- 폼페이오, “이란 밖 나가는 원유 없을 것"...한국 등 수입금지 예외 종료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