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국감]예산 남기고 상한선 적용..시교육청 제멋대로 무상급식

김보경 2009. 10. 9. 09: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서울시교육청이 8758명분의 무상급식비 예산을 남기면서도 급식비 지원 상한선을 적용해 논란이 되고 있다.

9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 김선동(한나라당) 의원이 발표한 서울시교육청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시교육청의 급식비지원사업의 2008년도 예산 433억원 중 불용액은 26억8000만원(6.18%)이나 됐다. 같은 해 전북교육청의 경우 120억원 급식지원예산 중 불용액은 단 5000원 뿐이었다.

시교육청의 불용액 26억8000만원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제시하는 학교급식비단가로 환산할 경우 1식당 평균 1700원인 초등학생 8758명의 1년치 급식비, 1식당 평균 2500원인 고등학생은 5955명의 1년치 급식비에 해당한다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

이처럼 예산이 남아돌자 다른 시도교육청과 달리 적용하고 있는 급식비 지원지침도 문제가 됐다.

시교육청은 급식비 지원지침을 통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자녀 등 법정 지원 대상 외에 담임교사의 재량으로 추가 지원을 할 수 있는 인원을 기존 법정 지원 인원의 10%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즉 예산이 있어도 10%의 인원 상한선을 적용하기 때문에 급식비를 지원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 상한선을 적용할 경우 서울시 전체 무상급식 신청자 중 4556명은 내년부터 급식비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서울 남부교육청의 경우 지난 9월 이 지침을 어기고 법정 인원의 10%가 넘은 학생들에게 급식비를 지원한 학교 4곳의 교장에게 행정처분을 내린 바 있다.

김 의원은 "남은 예산 26억8000만원이면 서울 전체의 초과신청자 4556명의 급식비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서울시교육청만 급식비 지원기준을 높게 제시해 수혜대상자가 돼야 할 학생이 수혜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