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교과서 반대하냐".. 정보과 형사 '사찰' 논란
[오마이뉴스 윤근혁 기자]
|
▲ 울산 동부경찰서 정보과의 전화번호가 찍혀 있는 울산 한 고교의 전화. |
ⓒ 제보자 |
8일 울산지역 고교와 울산 동부경찰서 등에 따르면 해당 경찰서 소속 A형사는 지난 7일 오전 최소 4개 고교 이상의 역사 교사들에게 전화를 걸어 '국정교과서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다.
역사교사 "'위에서 알아보라'고 했다"... 형사 "지시 여부 말 못해"
이 전화를 받은 B역사교사는 "자신을 정보과 형사로 소개한 사람이 '선생님은 국정교과서에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 교과서 선정 과정에서 외압은 없느냐, 학생들이 교과서 문제에 대해 알고 있느냐' 등 3가지를 질문했다"면서 "사찰받는 느낌이어서 상당히 불쾌했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또 "당시 형사가 '위에서 보고하라고 해서 알아보는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그래서 내가 '청와대에 보고하는 거냐'고 물으니 '그런 셈이다'라면서 대충 얼버무리더라"고 당시 통화 내용을 전했다.
이에 대해 울산 동부경찰서 A형사는 "어제(7일) 교과서 외압에 대한 정책정보 수집 차원에서 현대고, 대송고, 남목고 등 네 군데 고교에 전화를 걸어 알아본 것은 맞다"고 관련 사실을 시인했다.
하지만 이 형사는 "국정교과서에 대한 교사 개인의 찬반을 물은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의견을 물은 것"이라면서 "역사교사를 사찰한 것은 절대 아니다"고 해명했다.
또한 이 형사는 '상부에서 지시하고 청와대에 보고하는 것이라고 말한 적 있느냐'는 물음에 대해 "상부에서 지시했는지 여부는 말할 수 없다"면서도 "청와대에 보고한다고 말한 바는 없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470여 개의 교육시민단체들이 모인 역사정의실천연대 방은희 사무국장은 "현 정부가 1970년대 유신 시대에서나 시행한 국정교과서를 추진하더니, 유신 시대처럼 교사들을 사찰하고 있는 것이냐"면서 "역사학자와 역사교사들이 책임져야 할 역사교육에 경찰이 나서는 등 상식을 벗어난 행동이 극에 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인터넷<교육희망>(news.eduhope.net)에도 보냅니다.
이 기사를 응원하는 방법!
☞ 자발적 유료 구독 [10만인클럽]
모바일로 즐기는 오마이뉴스!
☞ 모바일 앱 [아이폰] [안드로이드]
☞ 공식 SNS [페이스북] [트위터]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대장동 정영학 "검찰, 내 엑셀파일에 임의로 숫자 입력해 출력"
- 내란세력이 활용하는 '청년' 정치의 실체, 이게 현실이다
- 1대1 맞붙은 김문수·한동훈... "이재명보다 전과 많아" vs. "이재명과 뭐가 다르냐"
- 고통 앞에서 중립 지키는 정치인들... 그리고 윤여정의 '용기'
- '이재명의 경제 책사' 말에 깜짝 놀라...진보학자가 왜 갑자기
- "삼부체크 뭐냐" 물은 SBS 기자, 이복현 앞에서 '하하' 웃었다
- 그럼에도 헌법재판소는 고쳐야 할 것이 많다
- 기아 첫 전기세단 EV4, 시장 판도 바꿀 수 있을까
- [손병관의 뉴스프레소] 늦더라도 사과는 윤희숙처럼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