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학생 가장 큰 고민은 취업도 섹스도 아니고 이것"

2014. 7. 4. 14: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

부경대의 베테랑 상담원 조수진 씨는 "10년 전이나 요즘이나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내가 누구인가'를 알고싶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양섭 전문기자 lailai@donga.com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무얼까. 취업, 진로, 섹스, 연애, 학업…. 부경대의 조수진 학생상담센터 수석 상담원은 "그런 고민도 적지 않지만…"이라며 뜻밖의 이야기를 꺼냈다.

"학생들의 고민을 크게 보면 '내가 누구인가를 알고 싶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제가 12년 전에 부경대에 처음 왔을 때랑 크게 달라지지 않았어요. 남녀 간의 차이도 없구요. 세상이 빠르게 변하는 것에 비교한다면 의외인 것 같지만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몰라요."

조 상담원은 학생들의 고민을 '굳이' 내용별로 나눠보면 성격에 대한 상담이 가장 많다고 말했다. 지난해 학생상담 센터를 찾은 학생은 5920명(전체 재학생 2만5000명) 중 3071명이 '자기의 성격이 마음에 들지 않아 고치고 싶다'고 호소했다는 것. 그는 "어떤 일이 잘 풀리지 않으면 성격 탓으로 돌리며 자기 비하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 부분은 자존감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다음으로는 대인관계 고민이 많았다. 대학은 중고교 때보다 다양한 인간관계로 얽혀 있다. 친구와 선배와의 관계 설정이 대표적인 고민이다. 이런 고민은 신입생들 가운데 많았다. 대학에 입학하면 모든 것이 저절로 해결될 줄 알았지만 막상 그렇지 않은 데서 오는 고민이다. 예컨대 대학에서는 본인이 노력하지 않으면 친구도 생기지 않고, 할 일이 많을 것 같지만 막상 본인이 노력하지 않으면 할 게 없는 상황과 부닥쳐 무기력해 진다는 것.

물론 이성이나 연애에 대한 상담도 많다. 이밖에 가족관계, 가치와 종교, 사이버중독, 불안, 편집, 학교적응, 발표불안 등 모든 분야를 상담하고 있다. 그는 "통상 상담이라는 게 여러 문제가 얽혀 있는 경우가 많아 칼로 자르듯 분류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한다.

조 상담원은 동아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상담심리) 학위를 받았다. 2002년에 부경대에 온 이후 12년 동안 5000명 정도를 상담했다. 그는 올해 5월 스승의 날엔 꽃바구니 하나를 선물 받았다. '나를 바꾼 스승의 한마디'라는 교내 공모 이벤트에 당선한 학생이 보낸 꽃바구니였다. 그 학생은 "'선생님은 네가 잘 할 거라고 믿는다'는 조 상담원의 말을 소중히 생각하고 이벤트에 응모했던 것.

그의 상담에 대한 견해. "상담이란 게 내담자(來談者)의 인생에 같이 들어가는 것이다. 다만 내담자에 공감은 해주지만 감정에 같이 휩쓸려 들어가면 안 된다. 버티기를 잘 할 수 있어야 상담이 성공할 수 있다."

그러면서 그는 에피소드 하나를 이야기했다. 그는 지금까지 3,4번 정도 내담자와 함께 펑펑 운 적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같이 운다는 것은 내담자가 '나를 동정한다'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도 있다"며 "다행히 내담자와 교감이 있었기 때문에 문제가 쉽게 풀렸다"고 말했다.

조 상담원은 "상담이란 게 '동굴 속에서 길 찾기'와 비슷하다. 학생의 고민은 말을 나눠보면 문제가 무엇인지, 어디서 오는 것인지는 금세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내 고민은 어떻게 학생의 생활이나 태도에서 변화를 이끌어내느냐 하는 것이다. 어떤 때는 잘 풀리지 않을 때도 있다"고 털어놓았다.

조 상담원은 2010년 봄 천안함 폭침 사건 무렵을 어려웠던 시기로 꼽았다. "당시 천안함 사건에 연예인이 자살하는 등 사회 분위기가 우울했다. 또 날씨까지 좋지 않았다. '우울하다' '자살하고 싶다'는 학생들의 상담이 폭주했다. 일부는 '늘 죽고 싶은 나는 죽지도 못하고 멀쩡한 젊은이들만 죽었다'며 자책하는 경우를 달래느라 굉장히 어려웠다." 올해는 세월호 사건이 터져 상담실이 바짝 긴장했으나 생각보다 상담실에 미치는 여파는 크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지금도 끊임없이 배우고 있다. 세미나에 참석해 선배 상담전문가들의 경험과 식견을 배우거나 집단 교육에도 참가해 실력을 키워 가고 있다. 그는 자신의 롤 모델로 성신여대 김정규 교수를 꼽았다. "김 교수님은 핵심에 빨리 도달하고 빨리 방법을 찾아낸다. 사람마다 다른 방법으로 상담을 하는 것 같은 데 결과적으로 각자에 꼭 맞는 상담방법을 보여줬다. 한마디로 예술이었다."

상담전문가로 인정받는 그이지만 석사과정 때 '상담을 그만둘까'도 생각한 적이 있다고 털어놨다. '상담이란 내담자의 신발을 신고 반보 뒤에 쫓아가는 것'이라는 교수님의 말이 뜬 구름 잡는 이야기 같았다는 것. '공감이 뭔지'를 알 수 없어 무력감을 느꼈던 때였다. 하지만 그는 "지금은 교수님의 말이 정답이란 걸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인터뷰가 끝날 무렵 그는 '사랑을 많이 받은 사람이 독립적일까요, 적게 받은 사람이 독립적일까요'라는 퀴즈를 기자에게 냈다. 그리고는 이내 정답을 밝혔다.

"엄마와 애착관계가 잘 형성된 사람이 훨씬 더 독립적이다. 어렸을 때 엄마의 든든한 지지가 있으면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세상을 제대로 탐색할 수 있다. 자신은 안전하다고 느끼니까 멀리도 갈 수 있다. 사랑을 받은 사람이 사랑을 줄 수도 있다."

부산=윤양섭 콘텐츠기획본부 전문기자 lailai@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