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 "건국절 주장은 반역사적 반민족적 망론"
[한겨레] 박 대통령 8·15 경축사로 불거진
건국절 논란에 대한 ‘입장’ 발표
“친일행위에 면죄부 줄 수 있어
‘대한민국’ 국호 처음 선포한
1919년 4월13일이 대한민국 생일”
광복회가 정부·여당의 ‘1948년 8월15일 건국절’ 주장에 대해 “항일 독립운동을 폄하하고 선열 모두를 모독하는 반역사적이고 반민족적인 망론”이라고 비판했다.
항일 독립운동가 단체인 광복회는 이날 ‘건국절 논란에 대한 입장’을 내어 “1948년 건국절 제정은 과거 친일 반민족행위자들에게 면죄부를 주어 친일행적을 지우는 구실이 될 수 있다”며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 데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자랑스럽고 긍정적인 역사관을 갖게 하는 순기능보다 기회주의와 사대주의 사상을 배우게 하는 역기능이 더 많음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정부 수립일인 1948년 8월15일을 건국일로 바꾸자는 ‘건국절’ 논란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오늘은 제71주년 광복절이자 건국 68주년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하면서 재점화했다.
광복회는 이날 발표한 입장에서 “국가구성 3요소(국민, 영토, 주권) 불비(不備)설이나 유엔 등 국제적 불인정을 들어 대한민국의 건국 시기를 1948년 정부수립 시기로 보는 주장은 식민지 항쟁의 위대한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의 역사를 보는 바른 역사관이 결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광복회는 “우리의 우방인 미국의 경우를 보면, 1776년 7월4일에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미합중국이라는 국호로 독립선언을 발표했다. 뉴라이트 학자 이아무개씨가 주장하는 미국의 건국절은 이 독립선언일을 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1919년) 독립을 선언한 3·1독립운동 직후 ‘대한민국 수립’을 임시정부가 선포하고, 부단한 독립운동을 통하여 광복을 되찾았으며, 1948년 정식 정부가 수립되어 그 정통성을 이어받았다는 것이 우리 역사의 정설이다. 이것은 이승만 대통령의 주장이기도 하다”며 “‘다른 나라에 다 있는 생일도 없는 대한민국’ 운운하며 국민을 오도하지 말라.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처음 쓴 1919년 4월13일을 대한민국의 생일로 정하면 왜 안 되는가”라고 밝혔다.
광복회는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의 공개토론 제안에 대해서도 “건국절 공개토론은 그동안의 국력 소모를 줄이고 국민 대통합을 이룰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일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근간을 분명히 밝히고 국가정체성을 영구히 유지해 나가는 데 있어 중대 사안”이라며 적극 환영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우병우 블랙홀’ 키우는 박 대통령의 일방통행, 결말은?
■ 미국 감옥서 ‘라면’ 인기 짱…‘지하경제 화폐’ 구실까지
■ 서경덕 “일본 전범기 디자인 사용 말라” 다국적 기업 상대 캠페인
■ [화보] 이방인이 본 옛 수원화성
■ [화보] 전쟁을 찍고 평화를 새긴다
▶ 발랄한 전복을 꿈꾸는 정치 놀이터 [정치BAR]
▶ 콕콕 짚어주는 [한겨레 카드뉴스][사진으로 뉴스 따라잡기]
▶ 지금 여기 [사드 배치 논란][한겨레 그림판][당신에게 꼭 맞는 휴가지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