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사태 재발 막으려면 '징벌적 손해배상' 필요"

2016. 5. 24. 11: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변호사·교수 1천여명 성명.."20대 국회에 입법 청원"
[연합뉴스TV 캡처]

변호사·교수 1천여명 성명…"20대 국회에 입법 청원"

(서울=연합뉴스) 황재하 기자 = 법조인과 교수들이 가습기 살균제 사태를 계기로 불법행위를 저지른 기업의 책임을 묻기 위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하라고 촉구했다.

'징벌적 손해배상을 지지하는 변호사·교수 모임'은 2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법원종합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대 국회의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도입을 촉구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는 김현 전 서울지방변호사회장과 김정욱 한국법조인협의회장, 박명희 소비자와 함께 상임대표, 김수진 대한변호사협회 감사 등 1천여명의 변호사와 교수가 참여했다.

이들은 "기업의 악의적 불법행위에 엄중한 책임을 묻고 재발을 막으려면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식품과 약품, 세제 등 생활화학용품처럼 국민의 생명·신체에 직접적 위해를 가하는 제조물에 한해 이를 생산한 기업에 징벌적 손해배상을 명령하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징벌적 손해배상은 고의 또는 악의로 타인의 재산이나 신체 피해를 입힌 가해자에게 일반적 손해배상을 넘어 무거운 배상 책임을 지우는 제도다. 미국과 영국, 캐나다에서 채택됐으며 미국의 경우 손해의 2~4배를 징벌적 손해배상액으로 정한다.

김현 전 회장은 "우리나라는 하도급법과 기간제법, 파견법 등에서 특정 유형의 불법행위로 발생한 손해의 3배까지 책임을 지우고 있지만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성명에 참여한 변호사와 교수들은 20대 국회에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입법을 청원하고 각 당 정책위원회에 의견을 제시할 방침이다.

jaeh@yna.co.kr

☞ "예쁜 여선생이 교장 옆에 앉아라"…성희롱 장학사 '징계'
☞ 술집 근처 여성화장실 훔쳐 봤는데 무죄···황당한 이유
☞ "야동 같이보자" 딸 성추행한 '악마' 부친에 징역 5년
☞ 우리집 '도어록'비밀번호 누군가 훔쳐보고 있다 '섬뜩'
☞ 탑골공원 옆 땅주인 "담장 세우고 싶다" 소송 패소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