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의 용산공원 개발案에 서울시 "部處간 땅 나눠먹기"

김정환 기자 2016. 5. 24. 03: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세상] 市 "난개발로 공원 훼손 우려.. 전문가와 공동조사 하자" 제동 국토부 "서울시 주장 지나쳐.. 국민 의견 충분히 수렴 후 진행"

서울시가 국토교통부의 용산구 미군기지 부지(용산공원) 개발 계획안에 대해 제동을 걸고 나섰다.

서울시 김학진 도시계획국장은 23일 입장 발표를 통해 "용산공원 부지는 미래를 대비하는 '기회의 공간'이 되어야 하는데 국토부의 계획안을 보며 실망을 감출 수 없었다"며 "국토부안(案)은 정부 부처들의 사업을 위한 '땅 나눠주기'식으로 진행돼 난(亂)개발에 의한 공원의 훼손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또 "용산 미군기지는 2017년 말 이전(移轉) 후에도 현황 조사, 오염 치유 등을 거쳐 단계적으로 공원으로 조성된다"며 "정부와 시민단체, 전문가, 서울시 등이 참여하는 공동 조사를 거쳐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국토부는 앞서 지난달 27일 '용산공원 개발 시설과 프로그램(콘텐츠) 선정안'을 발표했다. 용산 미군기지(약 235만㎡)를 국가공원으로 만들면서 7개 정부 부처 주관으로 박물관, 공연장, 광장 등 8개 시설물을 들이는 내용이다. 국가공원에 들어설 시설은 국립과학문화관(연면적 3만3327㎡), 호국보훈 상징 조형광장(1만8000㎡), 국립어린이아트센터(1만7540㎡), 아리랑무형유산센터(4000㎡), 국립경찰박물관(3641㎡) 등이다. 국토부는 계획안을 올 6월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에서 확정해, 2019년부터 개발에 착수할 방침이었다.

그런데 서울시가 "정부가 성급하게 밀어붙이며 자기 사업만 챙기려 한다"고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서울시는 "국토부 개발안은 용산 부지는 최대한 보전하겠다는 용산공원조성특별법의 취지에도 어긋난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서울시 주장대로 미군기지 이전이 완료되고 나서 개발 계획안을 만들면, 그만큼 용산공원 조성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며 "국토부는 국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 절차를 거쳐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국토부는 이어 "용산공원에 들어갈 시설물들은 아리랑무형유산센터, 호국보훈 상징 조형광장 등 국가공원에 걸맞은 최소한의 시설물"이라며 "정부의 땅 나눠 먹기라거나 난개발이라는 서울시 주장은 지나치다"고 했다.

국토부는 6월로 예정된 계획안 확정 시기를 다소 늦추는 대신 의견 수렴 기간은 늘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용산 미군기지 부지는 국유지(國有地)이다. 이 때문에 서울시는 "이제원 행정2부시장이 용산공원조성추진위에 위원으로 참여해 시(市)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알릴 것"이라고 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