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일, 위안부 '소녀상 이전' 대외적 언급 않기로

배상은 기자 2016. 5. 18. 13: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7일 도쿄 국장급 협의회서 구두 합의
주한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소녀상이 비를 맞고 있는 모습(자료사진). © News1

(서울=뉴스1) 배상은 기자 = 한일 정부가 양국간 위안부 합의의 최대 '뇌관'으로 꼽혀온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 이전 문제를 대외적으로 언급하지 않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소식통은 18일 "최근 위안부 합의 이행과 관련한 한일 국장급 협의에서 소녀상 이전 문제는 대외에 구체적으로 이야기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병원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과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전날(17일) 도쿄에서 양국 간 위안부 합의 체결 이후 3번째 국장급 협의회를 가졌다.

소식통은 전날 협의에 대해 "위안부 합의에 따라 재단을 설립하는 절차와 일본 정부가 출연할 10억엔이 사용될 각종 사업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며 위안부 합의 골자인 재단 설립 논의에 어느정도 진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일본에서는 그간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관방부장관을 비롯, 10억엔 출연을 소녀상 이전과 연계해야한다는 주장이 정부 안팎에서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그러나 이번 협의에서는 소녀상 이전이나 철거가 이뤄지지 않더라도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 정부는 10억엔을 출연하는 방향으로 양측간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소녀상 이전 문제로 합의 이행이 늦어질 경우 자칫 합의 자체가 유야무야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소녀상 이전 문제를 언론 등에 대외적으로 언급하지 않기로 합의한 것 역시 이같은 인식의 연장선에서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위안부 합의가 체결 직후부터 "한국정부로서도 가능한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한다"는 합의 내용을 빌미로 소녀상 이전을 거듭 요구해오면서 양국간 합의의 최대 '뇌관'으로 여겨져왔다.

다만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말 언론사 편집국장단 오찬 간담회에서 "위안부 합의 과정에서 소녀상 이전은 언급도 안된 문제"라고 완전히 선을 그었다.

이 소식통은 재단 설립과 일본 정부 자금 출연 등과 관련 구체적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재단 설립 일자 자체가 확정되지 않았으나 상반기 중 설립한다는 우리 계획에서 넘어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aebae@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