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바닥 쩍쩍 갈라지는데 4대강 물은 찰랑찰랑 넘쳐
16개 보 관개수로 설치 안 돼 물 활용 제한적
각종 용수 공급계획 전무, 체계적인 물관리 시급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기자 = 4대강 사업으로 확보한 물이 가뭄 해결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악의 가뭄으로 전국의 논바닥이 쩍쩍 갈라지고 있지만 4대강에 설치된 16개 보에 가둔 물은 찰랑찰랑 넘치고 있다. 체계적인 물 공급·관리 계획이 없다보니 물이 넘쳐나도 활용을 못 하는 것이다.
16일 국토부와 농림부 등에 따르면 4대강 사업 완료후 관개수로를 새롭게 설치한 곳은 한 곳도 없다.
관개수로를 설치하지 않는 바람에 전국 16개 보 안에 가둬 둔 물을 농경지까지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현재 4대강에 설치된 전국 16개 보에는 7.2억t의 물이 가득 차 있다.
풍부한 수량에도 불구하고 보 주변에 있는 농경지만 산발적으로 찔끔찔끔 농업용수를 뽑아 쓰는 데 그치고 있다.
농림부 한 관계자는 "기존에 있던 시설을 이용해서 산발적으로 하천수를 이용할 뿐 체계적인 물 공급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토부를 비롯한 농림부, 농어촌공사, 수자원공사 등의 물 관련기관 어디하나 4대강 용수공급 계획을 통합관리하는 곳이 없다.
2009년부터 4대강 공사를 시작했지만 농림부와 농어촌공사는 최근 들어서야 4대강 사업을 통해 확보한 하천수 활용계획을 세우고 있다.
전국 20여곳에 수리시설을 설치, 1억t 정도의 물을 농업용수로 공급하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예산확보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해 실제 물 공급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농업용수 공급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공업·생활용수 공급계획은 전혀 세우지 않은 상태다.
국토부는 하천유지수를 비롯한 각종 용수공급을 4대강 사업의 주요목표라고 밝혀왔지만, 애초 계획과 달리 체계적인 물 공급·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국토부 한 관계자는 "농업용수가 무료이다보니 어느 정도의 물을 보에서 뽑아 쓰는지 파악하긴 힘들지만 보 주변 가뭄 해결엔 일정 부분 도움이 된다"며 "농림부와 농어촌공사 등에서 체계적인 4대강 물 활용 계획 수립과 시행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youngs@yna.co.kr
- ☞ 고흥서 스카이다이빙 후 실종 30대女 시신으로 발견
- ☞ "팔이 사라졌어요"…미 상어습격 다급했던 첫 911 신고
- ☞ 이번엔 '대기귀순'…북한군 병사, GP인근서 하룻밤 지냈다
- ☞ 80대 영국인 할아버지가 죽은 한국인 아내 찾아나선 이유
- ☞ 김무성 '3차 유행 우려 병원' 방문…마스크착용 권유 사양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가뭄 비상> 정치권 추경예산 편성 주문하며 가뭄대책 촉구
- <가뭄 비상> 용수수급 상황실 운영하며 긴급 대책 시행
- <가뭄 비상> 함안보 등 낙동강 곳곳 녹조..남조류 '경보음'
- <가뭄 르포> "하늘만 쳐다보다 농사 포기할 판"
- <가뭄 비상> 쩍쩍 갈라진 논바닥..타들어가는 농심
- 김수현, 내일 기자회견…故김새론 관련 입장 표명 | 연합뉴스
- 경찰 '경북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산림보호법 위반"(종합) | 연합뉴스
- 경찰, 전자발찌 끊고 달아난 40대 남성 추적 중 | 연합뉴스
-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 연합뉴스
- "탄핵 직전 대통령에 빙의"…웹소설판에 등장한 '계엄물'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