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식의 유럽 리포트]양심과 불신의 기로에 선 독일의 '자율승차'

프랑크푸르트 | 정동식 통신원(전 경향신문 기자) 2016. 10. 23. 09: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베를린의 지하철 S-bahn (출처/ BVG)

“기차에 앉아 있는데 검표원이 올라왔다. 그제서야 깜빡 잊고 표를 사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았다. 검표원은 친절하면서도 단호한 표정으로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면서 승객들의 표를 검사하기 시작했다. 등에서 식은 땀이 흘러내렸다. 그들이 내 앞에 오기 직전 나는 잠에서 깨어났다”

독일에 사는 영국 텔레그래프의 한 기자가 22일 웹사이트에 올린 기사다. 그는 독일에 이사온 후 이런 악몽을 되풀이하고 있다면서 ‘심장을 벌렁거리게 만드는’ 독일 대중교통 경험담을 소개했다. 그는 독일이 런던이나 파리와는 달리 대중교통을 탈 때 아무런 검표 과정이 없기 때문에 표 사는 것을 깜박하기 십상인 반면 부정승차로 적발됐을 때의 받는 고통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독일에는 ‘개찰’의 개념이 없다. 탈 때도, 내릴 때도 표를 검사하지 않는다. 그냥 양심에 맡긴다. 다만 검표원이 운행 도중에 가끔 검사를 할 뿐이다. 그래서 이 ‘자율승차’는 독일 신뢰문화의 상징이 되어 왔다.

그런데 이 자율승차 제도가 시험대에 올랐다. 무임승차객들이 해마다 늘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 교통당국에 따르면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연간 약 3억5000만 유로(약 4500억원)에 달한다. 대도시의 경우는 무임승차 비율이 7%에 육박하는 곳도 있다고 한다.

당국은 갖가지 대책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엔 벌금을 40유로에서 60유로로 12년만에 대폭 인상했다. 프랑크푸르트의 경우 1회용 승차권이 2.8유로이니 20배가 넘는 액수다. 검표원도 대거 늘렸다. 예전에는 한달에 한번 마주칠까 했지만 지금은 하루에 몇 번 만나는 일도 있다고 한다. 검표 방법도 강화됐다. 예전엔 검표원들이 정복차림을 했지만 지금은 사복차림도 많다. 도망가지 못하게끔 문이 닫히기 직전에 탑승한다든지, 사복차림으로 승객들 틈에 숨어있다가 기습적으로 단속하는 등 점점 지능화하고 있다. 아예 각국 언어로 된 설명서까지 갖고 다닌다.

단속 강화는 결국 마찰로 이어진다. 외국인들이 많이 적발되다 보니 검표원들의 인종차별적이거나 모욕적인 언행이 물의를 빚고 있다. 지난 18일에는 베를린 지하철에서 검표원들이 무임승차한 이스라엘 여행객 2명을 검표하다가 반유대적 발언을 해 조사를 받고 있다. 15일에는 함부르크에서 무임승차객이 검표원에게 칼을 휘둘렀고, 1일에는 뮌헨 근교에서 무임승차객이 검표원을 들이받아 코뼈를 부러뜨렸다. 앞서 5월에는 뮌헨공항에서 시내로 가던 중국 여성이 표를 구입했지만 개시 시간을 찍지 않은 일이 있었다. 이 여성이 검표원에게 여권을 빼앗기고 경찰서에 연행될뻔 하는 모습이 동영상으로 인터넷에 올라와 철도당국이 사과를 하기도 했다. 검표원을 사칭해 돈을 빼앗는 일도 있어 주의를 당부하는 글이 철도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다.

또 다른 문제는 본의 아니게 무임승차가 되어 곤란을 겪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독일의 대중교통 요금체계는 복잡하고 도시마다 다르다. 베를린에서는 탑승 전에 개찰기에서 시간을 찍지 않으면 무임승차로 간주한다. 1회권의 경우 2시간 동안 유효하지만 한 방향으로만 타야 하며, 유효기간도 탑승한 시간부터 하루가 아니라 다음날 새벽 3시에 종료된다. 1주일권을 사면 금요일 오후 8시부터 일요일까지는 성인 1명과 어린이 3명까지 동승할 수 있다. 정기권 만료기간을 깜빡 잊거나, 1등석인 줄 모르고 탔거나, 표를 두고 왔거나, 급히 타느라 표를 못 산 경우도 당연히 무임승차다.

문화와 언어에 익숙하지 않는 외국인들이 이 많은 규정들을 제대로 숙지한다는 건 쉽지 않다. 억울하다고 호소해 봐야 ‘선의’를 증명할 방법도 없다. 벌금도 벌금이지만 졸지에 양심불량자의 오명을 쓰게 된다. 차라리 외국처럼 개찰구를 만들자는 주장도 나오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데다 오랫동안 내려온 전통을 버린다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신뢰의 상징으로 독일을 자랑스럽게 했던 자율승차제가 이제 불신을 조장하고, 외국인 혐오를 부추기고, 양심을 시험하는 시스템으로 전락할 위험에 처한 것이다.

<프랑크푸르트 | 정동식 통신원(전 경향신문 기자) dosjeong@gmail.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