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락의 마포스캔들]이사장님, 사랑합니다?

김종락 | 대안연구공동체 대표 2015. 5. 27. 21: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 빈센트 반 고흐는 구두 그림을 여러 점 남겼다. 목이 긴 구두나 짧은 구두를 포함해 구두만 그린 그림이 일곱 점이나 된다. 그릇이나 물병과 더불어 정물화로 그린 구두 그림도 두 점 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은 ‘끈이 달린 낡은 구두’라는 제목이 붙은 그림이리라. 늙은 농부의 얼굴처럼 굵은 주름이 잡힌 구두는 끈이 풀어진 채 늘어져 있고 왼쪽 구두의 목은 접혀 있다. 해바라기 같은 화려한 작품에 가려 관심을 끌지 못하던 구두 그림이 세상에 널리 알려진 것은 그려진 지 50년이나 지나서다.

하이데거가 <예술작품의 기원>에서 고흐의 구두 이야기를 하면서 이 낡은 구두가 단번에 인문학의 화두로 부상한 것이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이가 미국의 미술사학자 샤피로다. 하이데거가 아무런 검증도 없이 ‘끈이 달린 낡은 구두’를 농부, 또는 농부의 아내 것이라고 단정지은 것을 비판하고 나선 것이다. 이 논쟁에 데리다가 가세하면서 고흐의 구두는 세상에서 가장 철학적인 구두로 바뀐다.

그림으로 자신의 철학을 설명한 이는 하이데거나 데리다뿐 아니다. 미셸 푸코는 <말과 사물>에서 벨라스케스의 그림 ‘라스 메니나(시녀들)’와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란 문구로 유명한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이미지의 배반’을 분석했다. 이 밖에도 <판단력 비판> <미학 강의>란 저서에서 각각 자신의 미학을 펼친 칸트와 헤겔을 비롯해 수많은 철학자가 그림으로 철학과 미학을 설명했다.

2. 철학자들이 철학에 그림을 끌어들이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우선은 딱딱한 철학을 쉽게 만든다는 이점 때문일 수 있다. 예술이라는 점에서 소설이나 시와도 닮은 회화를 예로 들어 이야기하면 논증적이고 난해한 철학의 이해가 쉬워진다. 게다가 회화는 현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현실의 의무감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작가나 철학자에게는 현실에 대한 입장을 요구하지만 화가에게는 이를 면제해 주는 것이다. 어찌 보면 현실에서 벗어나 누구보다 사물을 순수하고 자유롭게 바라보고 표현할 권리를 가진 사람이 화가다.

철학자들이 그림에 매력을 느끼는 것도 그림으로 펼치는 세상에 대한 자유롭고 순수한 성찰이 이들의 사유를 자극하기 때문이 아닐까. 공동체의 철학 수업에 화가나 예술학 전공자들이 많은 것도 우연이 아니다.

그러고 보면 인문학을 깃발로 내세운 여러 공동체가 다투어 회화반을 만드는 것도 단순히 대상을 그럴싸하게 재현해내는 기능을 가르치기 위해서가 아니다. 언어로만 설명하던 사유를 시각으로 드러내며 이를 확장하거나 전복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물론 그림을 제대로 그리기 위해서는 사물의 재현이라는, 기초도 무시할 순 없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다. 창의력과 영감을 마비시키는 입시교육의 틀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유다. 대학이 제 역할을 포기한 시대, 자유를 추구하는 건 인문학 공동체를 개설한 취지와도 맞닿아 있다.

3. “각각의 대학은 최대한 학문의 순수 이념과 마주할 때만 본연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독과 자유야말로 이곳을 지배하는 원칙이다.”

19세기 초 베를린 훔볼트 대학의 창립을 주도한 빌헬름 폰 훔볼트의 말이다. 이 대학을 설립할 당시 프로이센은 나폴레옹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직후의 비상시국이었다. 패배의 원인을 군사력의 차이가 아닌, 경직되고 시대에 뒤진 국가 체제에서 찾은 프로이센의 지성인들은 이를 교육 개혁을 통한 사회 개혁의 기회로 여겼다. 그렇다고 이들의 관심은 당장의 군사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과학 기술력이나 산학 협력에 있지 않았다. 예술과 문학을 통해 자유롭고 조화로운 영혼을 길러내는 것이 이들의 교육 이상이었다. 중요한 것은 자유였다. 개개인의 능력을 균형 잡힌 최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의 모든 통제가 배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하지만 글로벌 신자유주의가 무르익은 지금, 대학에 훔볼트의 이상이 들어설 자리는 없다. 자본이 국가 권력을 조종해 대학의 학문과 자유가 시시각각 질식해 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상징적으로 드러난 것은 대학의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교수들에게 “가장 고통스럽게 목을 쳐줄 것”이라고 했던 박용성 전 두산중공업 회장의 e메일이다.

보다 충격적인 일도 벌어졌다. 검찰로 출두하는 박 전 이사장에게 학생들이 뛰어들어 카네이션을 달아주며 사랑한다고 외친 것이다. 교수들의 목을 치겠다는 이사장을 학생들이 사랑한다? 얼마 전 도하 언론에 보도된 이 한 장의 사진이야말로 ‘이제 대학의 자유는 끝났다’는 것을 가장 극명하게 폭로하는 이미지일지 모른다.

<김종락 | 대안연구공동체 대표>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