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송해의 꿈

배연국 입력 2015. 5. 29. 19:54 수정 2015. 5. 29. 22: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물넷의 청년은 전쟁이 터지자 산속으로 피신했다. 구월산에 은신한 인민군 패잔병들이 밤마다 꽹과리를 치며 동네를 휘젓고 다녔기 때문이다. 며칠씩 피해 다니다가 집에 돌아오는 생활이 반복됐다. 1950년 겨울 중공군이 밀려오면서 상황이 다급해졌다. "어머니, 잠깐 다녀올게요." 아들의 짤막한 인사에 어머니는 "이번엔 조심하거라"는 말로 아들을 배웅했다. 어머니의 간곡한 당부는 결국 마지막 유언이 되고 말았다. 아들에게는 '잠깐'이라는 단어가 65년 동안 목구멍에 가시처럼 걸렸다. '국민 MC' 송해가 안고 있는 이산의 아픔이다.

송해는 1998년 늦가을에 드디어 북녘 땅을 밟았다. 세월은 그를 기다려주지 않았다. 꿈에 그리던 어머니는 세상에 이미 없었다. 우여곡절 끝에 금강산에 오른 송해는 만물상 앞에서 걸음을 멈췄다. 한참 바위를 쳐다보자 안내원이 다가왔다. "보고 싶은 건 모두 보여주는 신기한 바위입네다. 선생도 한번 해보시라요." 간절한 마음으로 송해는 눈을 감고 기도했다. 잠시 후 눈을 떴더니 이게 웬일인가. 어머니 얼굴이 눈앞에 보름달처럼 환하게 나타난 것이다. 얼른 땅바닥에 엎드려 절을 올렸다. 짧고도 영원한 모자 상봉이었다.

송해는 올해 사모(思母)의 한과 분단의 설움을 담은 신곡 '유랑청춘'을 발표했다. 고향을 되찾기 전까지는 떠돌이 인생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런 유랑청춘들이 우리 주위에 아직 많다. 실향의 아픔을 대물림한 2, 3세까지 합치면 유랑청춘은 족히 천만을 헤아린다.

어제 서울 광화문 통일박람회 개막식에서 평화통일을 기원하는 '비둘기 풍선' 날리기 퍼포먼스가 열렸다. 국민이 자연스럽게 통일을 생각하도록 마련한 행사라고는 하지만 아쉬움이 적지 않다. 통일에 대비한 아무 준비가 없는 현실 탓이다. 외교와 안보 태세는 차치하고도 통일비용은 아예 생각 밖이다. 다들 제 밥그릇에만 신경을 곤두세울 뿐, 북녘 동포를 위한 통일 밥그릇에는 관심이 없다. 통일 재원은 텅 빈 지 오래다.

송해는 북한에서 두 번 전국노래자랑을 열었다. 하지만 그에게는 진짜 소원이 하나 있다. 황해도 재령에서 고향 사람들과 함께 흥겨운 노래판을 벌이는 일이다. '송해의 꿈'은 과연 이뤄질까. 천만 유랑청춘의 꿈은 현실이 될까.

배연국 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