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리치]자선·명성·절세..억만장자가 재단 설립에 꽂힌 이유

입력 2015. 10. 6. 11:02 수정 2015. 10. 6. 13: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슈퍼리치섹션 천예선ㆍ윤현종ㆍ김현일 기자]억만장자들에겐 공통점이 있다. 돈이 많다는 것 이외에도 자신의 이름을 딴 재단을 설립한다는 것이다. 꼭 자신의 이름이 아니더라도 가족의 이름이나 관심사를 표현한 이름으로 재단을 만든다.

‘기부강국’인 미국의 경우만 봐도 4만5000개 기부재단 가운데 가족재단(family foundation)의 기부금이 기업재단보다 2배 더 많다.

억만장자들이 가족재단을 만드는 이유는 뭘까.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부유층의 내적 욕구와 자산에 대한 요구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 재단”이라며 “부유층이 재단을 통해 대리만족하는 것은 자선과 명성, 세금대책”이라고 꼬집었다. 

빌 게이츠(왼쪽)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와 그의 아내 멜린다(오른쪽)가 세운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

▶‘나눔’=재단 설립의 1차 목표는 사회공헌이다. 자선활동은 젊은 부호들보다 나이가 지긋한 억만장자들에게서 더욱 두드러진다. 닛케이는 “40대 젊은 부자들은 한동안 소비의욕이 왕성한 경향이 있지만, 50~60대에 접어들면 자신의 돈을 죽기 전에 다 쓸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며 “그 결과 세상을 위해 공헌하려는 의욕이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단적인 예가 세계 최대 자산가이면서 자선가인 빌 게이츠(60)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 창업자다.

빌 게이츠는 2008년 여름 MS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이후 세계 의료 및 교육문제 개선을 위해 자선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그 발판이 된 것이 1997년 아내 멜린다와 함께 설립한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이다. 게이츠 재단의 보유자산은 올 3월 현재 429억달러(50조1070억원)다. 지난 18년간 기부 규모는 335억달러(39조1300억원)에 달했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85)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도 게이츠 재단과 자신의 가족이 운영하는 재단에 재산 99%를 기부하기로 했다. 버핏은 지난해에만 28억달러(3조2700억원)를 기부해 포브스 선정 미국 10대 기부자 중 1위에 올랐다. 작년까지 누적 기부액은 227억달러(26조5140억원)였다.

세계 부호 순위 1, 2위인 게이츠와 버핏은 한 발 더 나아가 2010년 세계 각국의 최고 부자들을 대상으로 재산 절반 이상을 기부하도록 독려한 ‘더기빙 플레지’ 캠페인도 벌였다. 출범 당시 40명의 백만장자가 최소 1250억달러(146조원) 기부를 약속했고 현재는 미국뿐 아니라 중국, 인도 등 전세계 131명이 참여하고 있다. 

여기에는 폴 앨런(MS 공동 창업자), 피에르 오미디야르(이베이 창업자), 래리 엘리슨(오라클 창업자), 어윈 제이콥스(퀄컴 공동 창업자), 조지 루카스(영화감독) 등이 포함됐다. 

빌 클린턴 전(前) 미국 대통령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그리고 이들의 딸 첼시가 함께한 ‘클린턴 재단’.

▶‘명성’=부호들이 재단을 설립하는 또 다른 이유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높은 사회적 신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를 실천해 명성을 드높이려는 의도도 숨어있다.

특히 부호들이 학교와 병원에 기부하면서 건물 이름을 자신의 이름으로 짓거나 건물 입구 명판에 이름을 명확히 새겨넣는 것도 사회적 지위를 은연 중에 과시하고 싶은 욕구가 담겨 있는 것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역사적으로 보면, 미국의 ‘철강왕’ 카네기와 ‘석유왕’ 록펠러가 재단을 통해 예술과 교육분야에 기부한 것이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모범 사례로 꼽힌다. 

미국 ‘철강왕’ 앤드류 카네기(왼쪽)와 ‘석유왕’ 존 록펠러. 이들은 대규모 가족재단을 설립해 교육과 예술 분야에 기부했다.

앤드류 카네기는 1911년 카네기 재단을 세우고 좌석수가 2804석이나 되는 세계적 공연장 카네기홀과 카네기 공과대학, 도서관 등을 세웠다. 주요 재단으로는 카네기국제평화기금, 카네기교육진흥재단 등이 있다.

록펠러 재단은 석유 재벌 존 록펠러가 카네기의 저서에서 영향을 받아 시작한 자선단체다. 1975년 설립 당시 자산 규모가 700억달러(현재가치 3167억달러ㆍ368조원)에 달했다. 이는 자선단체 순위에서 세계 최대 규모이며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비영리단체 중 하나로 평가된다. 

카네기재단 미국 뉴욕에 세운 ‘카네기홀’. 관객석이 무려 2804석으로 세계적인 공연장으로 꼽힌다.

절세=억만장자들이 재단을 통해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좋은 일이지만, 그 의도가 100% 순수한 것은 아니다. 재단은 절세의 수단이자 부(富)의 안전장치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부호들이 자산을 신탁(트러스트)하면, 자산 소유자는 ‘신탁’이 되면서 개인 소유에서 분리된다. 다시 말해, 자신에게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해도 신탁 자산까지는 압류되지 않기 때문에 재산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산 소유자는 아니더라도 ‘위탁자’로서 신탁자산에서 나오는 수익의 수혜자가 될 수 있다.

재단 설립은 부자들의 세금대책이 되기도 한다. 상속 등에 의해 취득한 재산을 국가나 지방공공단체, 특정 공익법인 등에 기부할 경우 그 재산은 상속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닛케이는 “이것이 상속세 부담이 큰 부유층에게 재단을 설립하는 강한 동기가 된다”라고 전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기업 계열 공익재단이 편법 상속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영선(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대기업 계열 공익법인들이 계열사 주식을 대거 보유하는 방법으로 증여세 등 세금을 회피해 사실상 상속증여의 수단이 되고 있다”며 “삼성의 경우 그 규모가 시가(지난 7월31일 종가기준) 5조4402억원에 달한다”고 꼬집었다.

현대차그룹 사정도 비슷하다. 박 의원은 “정몽구 회장이 2006년 현대글로비스 비자금 사태 직후 1조원 사재 출연을 약속한 뒤 현재까지 보유주식 8500억원 어치를 출연했지만, 이중 5871억원 어치는 현대차 정몽구재단이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행법상 공익법인에 기부하는 회사는 기부금으로 처리해 세제혜택을 받고 기부받는 공익법인도 증여세 등 세금을 내지 않는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공익재단의 회계적 투명성을 확보하고 공익사업의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cheo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리아이 영어글쓰기, 어떻게 교육하나요]
20대女, ‘인생 최악의 실수’…직장상사에 누드사진 전송
공급은 적고, 매매량은 증가하고, 서울 중심 중대형 아파트 인기
정규직에만 특식 제공한 회사 논란
무개념女, 남친 질투유발 위해…다른男과 성관계 인증샷?
“가슴 만지고 기부하세요” 日 행사 논란 …기부 맞나요?
톰 크루즈 딸 '수리'…벌써 완성된 미모 '미친 우월함'
文의 朴 대통령 탈당 요구를 보는 까칠한 시선
“실적 낮은 직원, 바닥 기어라” 中 회사 갑질 ‘시끌’
2016 병신년(丙申年) 달력 첫선…연휴는 언제?
부산에 들어서는 선시공•후분양 타운하우스, 금정 우진 더클래식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