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이란 경협 성과물, 파이낸싱 자신 있나

2016. 5. 4. 16: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출입銀 150억달러 대기로.. 국내서도 제코가 석자인데

수출입銀 150억달러 대기로.. 국내서도 제코가 석자인데

박근혜 대통령이 4일 큰 선물보따리를 안고 이란에서 돌아왔다. 박 대통령은 귀국길 기내회견에서 "제2의 중동붐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런 평가를 받을 만하다. 박 대통령은 적게는 42조원, 많게는 52조원으로 추산되는 경협 성과를 일궜다. 두 나라가 체결한 양해각서(MOU)만도 66건에 이른다. 모두 236명에 이르는 대규모 경제사절단이 동행한 효과를 톡톡히 봤다.

핵협상 타결 이후 경제제재가 풀린 뒤 이란은 국제사회의 '관심주'로 떠올랐다. 가장 먼저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올 1월 이란을 찾았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올여름 이란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은 시 주석보다 한발 늦었지만 아베 총리보다는 앞섰다.

앞으로 문제는 이란에서 일군 서류상의 경협 성과물을 어떻게 실천에 옮길 것이냐다. 사실 양해각서는 법적 구속력이 없다. 말 그대로 쌍방이 '이런 사업을 해보자'며 의견을 모은 것에 불과하다. 이때 중요한 것이 파이낸싱, 곧 사업자금 조달이다. 해외 대형 프로젝트 수주에서 금융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시 주석도 이란 인프라사업 수주를 위해 200억달러 규모의 파이낸싱을 제공키로 했다. 우리는 총 250억달러의 금융지원을 약속했다.

미국 등 서방국들의 경제제재로 이란 경제는 어려움을 겪었다. 장기간 원유 수출 길을 막은 게 결정적이었다. 그렇다고 제재가 풀린 뒤 이란 경제에 갑자기 봄바람이 부는 것도 아니다. 한때 배럴당 100달러를 웃돌던 국제유가는 간신히 40달러 선에 머물러 있다. 막대한 자금조달에 엄두를 낼 수 없게 된 이란 정부는 해외 기업들에 공사를 따려면 자체적으로 금융을 해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당장 수주가 급한 기업들은 그 조건을 따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42조, 52조원이 중요한 게 아니다. 덥석 물기보다는 과연 수지가 나는 사업인지 아닌지부터 따져봐야 한다. 한 증권사는 4일 "실제 계약 체결 등 수주 여부는 하반기에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했다. 150억달러(약 17조3100억원)를 대기로 한 수출입은행이 그런 역량이 있는지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 현재 수은은 국내 조선.해운업종 부실대출 탓에 제 코가 석자다. 정부는 부실기업 구조조정을 위해 국책은행 자본을 확충해야 한다며 법석을 피우고 있다. 과거에도 수은은 종종 국책사업 '동원'의 후유증을 앓았다. 그때마다 정부 또는 산업은행이 나서서 손실을 메웠다. 그런 잘못된 관행이 이란 프로젝트에서 되풀이되어선 안 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