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퇴직 후 프로그램 제대로 돼야 자영업 실패 줄인다

2016. 9. 28. 18: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영업이 창업자들의 무덤임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중소기업청이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이채익 새누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 창업한 소상공인 중 2013년까지 생존한 비율은 29%에 불과했다. 10곳 중 7곳은 5년 내 문을 닫은 셈이다. 기술과 전문지식이 필요없는 숙박·음식점은 더 심각해 1년 이내 폐업이 절반에 가까웠다. 성공할 자신도 없이 당장 먹고 살 길이 막막해 선택했으니 그럴 수밖에 없다. 준비 안 된 창업이 부른 참사다.

자영업이 무덤으로 변한 데는 이유가 있다. 자영업자 10명 중 6명은 50~60대 이상이다. 대부분 일에 치이고 집 장만, 자식 걱정만 하다 인생 2막을 고민할 겨를도 없이 은퇴를 맞은 이들이다. 신기술을 배울 시간도, 능력도 없다. 제대로 준비를 못했으니 먹고 살기 위해 너도나도 편의점이나 카페·음식점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 소상공인 가운데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 비중이 50%에 이른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그럼에도 정부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은 정보기술(IT)·바이오 등 첨단산업에 집중돼 있다. 고령층 대책은 공공근로 같은 임시직이 고작이고 그나마도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은퇴교육도 별 도움이 안 된다. 재도약, 인생 재설계 등 이름만 거창했지 실제로는 이론과 박람회 관람, 서류 작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한 설문에서 창업교육을 받은 적 없다는 응답이 80%를 넘는 이유다.

벤처 중심 또는 형식적인 교육으로는 은퇴 또는 은퇴 예정자들이 아무런 도움도 받을 수 없다. 실질적인 지원이 되려면 퇴직 전에 인생 2막을 준비할 시간과 제대로 된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일부 대기업에서 시행 중인 직무 연관 교육을 사회 전체로 확산시키고 시기도 퇴직임박 시점이 아닌 입사 이후로 앞당길 필요가 있다. 자영업이 무덤이 되지 않으려면 은퇴는 직장으로부터의 퇴출이 아닌 새로운 사회로의 진입이라는 인식전환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