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악재에 점령당한 한국 증시, 경제 불안감 더 키우나

입력 2016. 2. 11. 21:50 수정 2016. 2. 11. 23: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설 연휴가 끝나자마자 한국증시가 또 주저앉았다. 코스피지수는 11일 전 거래일보다 2.93%(56.25포인트)나 떨어진 1,861.54로 마감했다. 3년9개월래 최대 낙폭이다. 원·달러 환율은 5원10전 오른 1,202원50전에 장을 마치며 1,200원대로 다시 올라섰다. 일본 닛케이지수 급락 소식에 연휴 기간 중 발생한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발사와 개성공단 가동 중단 등이 겹치면서 파괴력을 키운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중국증시 대폭락 때도 2% 초중반의 낙폭을 보인 점을 감안하면 일련의 사태가 준 충격파가 크긴 컸던 모양이다.

문제는 국내 증시와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경제의 불안요인이 줄어들기는커녕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나 시장이 북핵 등의 문제보다 일본·홍콩의 주가폭락과 유럽은행 위기설 등 다른 해외 경제변수에 신경을 곤두세우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일본·유럽만큼이나 시장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미국 경제의 향방이다.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10일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수 있음을 시사해 미국 경제회복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경제보복 가능성도 불안요인 중 하나다. 초저유가, 중국 경기둔화, 신흥국 위기 등 기존 악재들 역시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다. 호재는 보이지 않고 악재만 잔뜩 쌓이는 형국이다.

물론 우리 힘으로 어쩔 도리가 없는 변수들이다. 중국이 무섭다고 북의 도발을 모른 체할 수도 없다. 답은 하나다. 구조개혁을 완수하는 한편 가계 소비능력을 키워 경제체력을 보강하고 외부 악재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길이 그것이다. 아직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는 노동개혁 입법과 산업구조 개편, 기업 구조조정에 사활을 걸고 매달려야 한다. 우리가 처한 위기를 헤쳐나가는 데 여야·좌우가 있을 수 없다. 경제부터 살리라는 설 민심을 흘려들어서는 안 된다.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