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임을 위한 행진곡' 논란 끝낼 때 됐다

2016. 5. 16. 00:3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틀 후면 36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이다. 1980년 5월 민주주의를 외치며 총칼에 맞서다 피 흘린 시민들의 넋과 뜻을 기리는 날이다. 그 참혹하고도 찬란한 역사를 증언해온 ‘임을 위한 행진곡’을 이제 제자리로 되돌려놓아야 할 때다.

지난 13일 청와대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 지도부 회동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의제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5·18 기념곡으로 지정해 제창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찬반은 있지만 5·18 행사 정신이 국민을 통합해야 하는 것”이라며 “국론 분열로 이어지면 문제가 있으니 국가보훈처에 지시해서 좋은 방안을 강구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80년 계엄군에 피살된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씨와 79년 숨진 노동운동가 박기순씨의 영혼결혼식 당시 노래극에 삽입됐던 곡이다. 5·18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97년부터 정부 행사에서 제창됐지만 이명박 정부 때인 2009년부터 공연단 합창으로 대체됐고 공식 식순에서도 빠졌다. 보수·진보의 이념적 대립이 커진 가운데 “북한 영화의 배경음악”이라는 등의 시비에 걸린 것이다. 정부 방침에 대한 반발이 잇따르면서 2013년부터는 기념행사마저 정부 주도 행사와 유가족·시민단체 기념식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국회가 2013년 공식 기념곡 지정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냈지만 보훈처는 ‘불가’ 입장을 고수해왔다. 보훈처는 “법령 등에 근거가 없다”며 별도 기념곡 공모를 추진하기도 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80년대 민주화운동을 거치며 시민들의 가슴속에 살아 숨쉬고 있는 문화유산이요, 역사다. 이 노래에 이념적 잣대를 대거나 ‘종북’ 논란의 소재로 삼는 건 민주화정신을 욕보이는 것 아닌가. 지난 4·13 총선에서 나타났듯 통합과 협치(協治)는 우리가 가야 할 길이다. 정부는 공식 기념곡 지정과 제창을 통해 소모적인 논쟁을 끝내야 한다. 그것이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민주화에 헌신했던 이들에 대한 예의다.

"탈북 종업원 단식투쟁 중 사망"···남측 은폐 의혹 제기

'임 행진곡' 참여정부 제창···박 대통령은 노래 안 하고

실종 할머니·손자, 탄금대교 근처 잇달아 시신 발견

檢 '집단 구타' 방성윤에 징역 4년 구형···"금품 갈취도"

비·김태희 2박3일 제주도 여행···"특별한 여행은 아니다"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