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평선] 러시아와 터키의 구원(舊怨)

장인철 2015. 12. 1. 20:1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터키 사이의 본격적 대립의 역사는 1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화약고는 남부 우크라이나에서 흑해를 향해 돌출해 있는 크림반도였다. 러시아를 지배해온 몽골계 왕조 킵차크한국이 쇠퇴하자, 크림반도의 독립 몽골왕조 크림한국의 세력도 약화했다. 오스만투르크제국이 그 틈을 타 크림반도에 진출해 종주권을 확립한 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향한 북방공략을 시도했다. 하지만 크림반도는 흑해를 장악하고 제국의 영토를 콘스탄티노플까지 확장하려던 러시아에게도 반드시 차지해야 할 전략요충지였다.

▦ 러시아의 남하와 오스만제국의 북방공략이 충돌하면서 크림반도를 둘러싼 크고 작은 무력충돌이 끝없이 이어졌다. 양국의 충돌은 슬라브족과 투르크족 간의 민족 갈등이자, 중앙아시아 무슬림과 가톨릭 및 러시아정교 간의 대립이기도 했다. 크림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지배권을 확립한 건 러시아의 측천무후 예카테리나 2세 여제(女帝)다. 18세기 중반에 벌어진 오스만제국과의 두 차례에 걸친 전쟁을 여제는 정부(情夫)였던 그레고리 포템킨 장군을 앞세워 승리로 이끈 뒤, 1783년 크림반도를 정식으로 러시아에 병합한다.

▦ 하지만 나폴레옹도 꺾은 ‘북극곰’ 러시아의 흑해 진출은 유럽 제국들에겐 방치할 수 없는 위협이었다. 오스만제국을 앞세운 영국ㆍ프랑스ㆍ프로이센 연합함대 병력 6만명이 크림반도를 공격하면서 본격화 한 크림전쟁(1853~1856)이 발발한 이유다. 크림전쟁에서 패한 러시아는 흑해함대를 철수, 역내 지배권을 일시 상실하게 된다. 하지만 크림반도는 계속 러시아 속지로 남았고, 혁명으로 소련이 성립된 이후에도 계속 러시아 영토로 남게 돼 현지의 투르크인들은 강제 이주 같은 박해에 시달리기도 했다.

▦ 양국 간 대립은 터키공화국이 성립된 이후에도 이어졌다. 동서 냉전기를 관통해 소련의 흑해 진출을 견제하려던 서방의 전략에 따라 터키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대(對)소련 견제국이었다. 얼마 전 이슬람국가(IS)의 파리 테러만행에 따른 국제공조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터키가 러시아 공군기의 영공 진입을 용납하지 않고 즉각 격추한 후 두 나라가 또 다시 팽팽히 대립하고 있다. 러시아가 최근 시리아 영내 흑해 연안에 사는 투르크족을 공습하는 등 드러나지 않게 해묵은 반목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장인철 논설위원 icjang@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