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약방의 감초/구본영 논설고문

입력 2015. 8. 29. 01: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며칠 사이 스마트폰 알림음 소리가 조용해졌다. 알고 보니 친목 모임의 총무 격인 친구가 몸이 많이 아프단다. 모임 공지 사항은 물론이고 시정의 시시콜콜한 얘깃거리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전해 주던 그였다.

한창 일하느라 바쁠 때, 심지어 잠잘 때에도 울리는 알림음이 성가시게 느껴질 경우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본래 간사한 게 사람의 기분이라고 하던가. 막상 새로운 콘텐츠 하나 없이 썰렁한 밴드를 열고 보니 그 친구의 존재감이 크게 느껴졌다.

프랑스 학자 막시밀리앙 링겔만은 수레를 끄는 말 두 마리의 힘이 한 마리 말이 끌 때 보여 주는 힘의 2배가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이른바 ‘링겔만 효과’는 인간사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모양이다. 모임이든 직장이든 보이지 않은 곳에서 힘을 쓰는, ‘약방의 감초’ 같은 누군가가 있어야 그 사회가 제대로 돌아간다니 말이다.

‘밴드지기’ 격인 친구의 ‘헌신’이 그래서 새삼스럽게 고맙게 여겨진다. 그 친구인들 생업이나 가정이 없어 모바일 공간에 글을 올리고 있었겠나 싶다. 금명간 만사를 제쳐 놓더라도 문병이라도 가야겠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