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바람 속 관절을 지켜라!

2009. 11. 26. 15: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겨울은 관절염 환자에게 여러모로 매서운 계절이다. 아침저녁 찬바람 속을 웅크린 채로 걸어가다 보면 온 몸의 관절이 뻣뻣하게 굳어지는 느낌이 든다. 날씨 탓에 실내에서만 생활하다 보니 갑작스런 야외활동이나 운동 시에는 통증이 심해지고 부상 위험도 높다. 또한 눈이라도 내려 빙판길이 되면 순간의 실수가 커다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를 게을리 할 수 없다.

우리 몸의 관절은 날씨에 따라 예민하게 반응한다. 관절염을 앓는 어르신들은 무릎이 시큰거리면 으레 '비가 오려나..'라고 한숨부터 내쉰다. 기온이 낮은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통증이 심해지기도 한다.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다 보니 '걸어다니는 기상청'이 따로 없다.

추운 날씨를 핑계로 실내에만 있거나 운동을 하지 않으면 관절 운동 범위가 점점 좁아지게 되고 굳어져 결국 통증이 심해지고 움직임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이럴 땐 간단한 스트레칭이나 맨손체조를 통해 관절을 지속적으로 활용해주는 것이 좋다. 실내 자전거타기, 수중운동은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관절을 튼튼하게 해줄 수 있는 운동이다. 관절강화운동으로 관절과 주변인대와 근육이 튼튼해지면 관절의 부담을 덜어주고 부상의 위험도 줄어든다. 관절과 근육을 무리하게 사용했다면 충분한 휴식이 뒤따라주어야 한다.

관절염 환자의 건강한 겨울 나기 Tip!1.비만이 되기 쉬운 겨울, 체중 조절로 무릎관절에 부하를 줄여준다.2.꽉 맞는 부츠나 킬힐 등 유행신발보다는 1∼3cm의 적당한 굽에 발볼에 맞는 신발을 신는다.

3.스키나 등산 등 운동 시에는 장비를 철저히 챙기고 준비운동을 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4.수영이나 실내 자전거 타기 등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찾아 꾸준히 실시한다.5.온찜질을 통해 관절 주변 조직의 긴장을 풀어주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6.내복이나 무릎담요 등으로 추위에 약한 관절 부위를 따뜻하게 감싸준다.만약 통증이 심하고 지속적인 통증이 유지된다면 생활요법에 그칠 것이 아니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아야 한다.

관절 전문 튼튼마디한의원 박선경 원장은 "날씨에 민감한 관절염 환자의 경우 차갑고 습한 기운으로부터 몸을 보호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한방에서는 봉약침을 통해 관절의 혈류순환을 촉진하여 통증과 염증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고, 뼈와 관절의 핵심구성성분인 교원질성분의 한약으로 뼈와 관절에 영양성분을 보충해 준다. 꾸준한 운동을 통해 뭉친 기혈과 어혈 등을 풀어주는 것도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끝)출처 : 튼튼마디한의원본 콘텐츠는 해당기관의 보도자료임을 밝혀드립니다.

Copyright © 연합뉴스 보도자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