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군, 마늘종 수확방법 개선 사업 추진
3억4천만 원 사업비 투입, 마늘종 생산 방법 변화 유도
남해군(군수 박영일)이 지역의 주요 소득 작물인 마늘의 품질 향상을 위해 '마늘종 수확 방법 개선 사업'을 올해 처음 도입했다.
이번 사업은 마늘 재배 농가에서 관행적으로 이어져 온 마늘종 수확방법을 바꿔 부산물인 마늘종과 주산물인 건마늘의 소득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마늘종 생산은 마늘 줄기에 침을 찔러 종을 뽑게 되는데 길이가 긴 1등품 마늘종 생산을 위해서는 종을 뽑을 때 3∼4개의 속잎이 붙어 나오게 된다.
이는 상처에 의한 세균 감염을 일으켜 마늘잎이 조기 노화되고 황화현상을 촉진시켜 마늘의 저장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됐다.
이에 군은 올해 3억4천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 마늘종 생산 방법의 변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즉 1∼2개 속잎 부위에 침을 찔러 마늘종을 뽑아 1등품 마늘종 수확을 줄여나가는 대신 그 차액을 보전해 줄 방침이다.
군은 이번 사업 추진으로 마늘종 소득은 유지하는 동시에 조직이 치밀한 마늘 생산량을 늘려 남해 마늘의 전반적인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명품 남해 마늘 생산으로 마늘 주산지로서의 명성을 이어나가고 관내 농가의 지속가능한 소득 창출에 기여하겠다"며 "이번 마늘종 수확방법 개선 사업에 많은 농업인의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끝)
출처 : 남해군청 보도자료
본 보도자료는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 무관하며 모든 책임은 제공자에 있습니다.
Copyright © 연합뉴스 보도자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대통령 정치적 운명, 오늘 헌재 판가름…11시 탄핵심판 선고 | 연합뉴스
- 관저서 '운명의 날' 맞은 尹…긴장감 감도는 용산 대통령실 | 연합뉴스
- 탄핵선고일 안국역 무정차, 시내버스 우회…출근길 불편 | 연합뉴스
- 트럼프, 車관세 발효되자마자 "반도체관세 아주 곧 시작" | 연합뉴스
- 트럼프 상호관세, 글로벌 금융시장 '강타'…美증시 최대 타격(종합2보) | 연합뉴스
- 美, 한국의 관세율 25%로 확정…행정명령 부속서 26→25%로 수정(종합) | 연합뉴스
- [인터뷰] 조태열 "상호관세 협의가능…민감국가 발효전 해제 쉽지 않아" | 연합뉴스
- [속보] 한미일 "대만 주변 군사훈련 우려…불안정 행위 중단" | 연합뉴스
- 마을경로당·빈집으로 복귀하는 이재민들…임시주택은 언제쯤 | 연합뉴스
- '지브리 변환' 열풍 속 日 저작권은 걱정해도 내 초상권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