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명빼고 다 바꿔..창당수준' 리모델링'
부자정당 오명 씻기 올인민생복지로 정책기조 유턴지도부-소장파 의견 제각각공천개혁 합의점 모색 유력
한나라당이 29일 쇄신연찬회를 통해 창당에 버금가는 '리모델링' 작업에 나선다.
당내에서는 이미 중진ㆍ소장파 가릴 것 없이 한나라당의 쇄신 정도가 신당을 창당해야 할 정도로 깊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는 중지를 모은 상태다.
이런 가운데 당이 기존의 구태를 벗고 전혀 '다른나라 당'이 되기 위한 핵심 키워드로 '서민정당 거듭나기'와 '대대적 공천개혁'이 화두로 떠올랐다.
당내 소장파인 임해규 의원은 28일 YTN라디오에 출연해 "한나라당이 어려움을 겪는 요인 중 하나가 부자정당이라는 이미지인데 이런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한 정책 전환에 대한 주문이 있을 것" 이라며 "예를 들면 일자리, 비정규직, 보육, 기초노령연금, 등록금 부담 완화 등 민생 복지 분야의 큰 정책 기조의 변화가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이 최근 감세 철회를 넘어 부자 증세 논의를 구체화한 것을 비롯해 민생예산 수정 확대, 월세전환율 부담 완화,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을 잇따라 검토, 발표한 것도 이 같은 당내 정책변신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에는 기존의 부자정당 이미지로는 2040의 민의를 되돌릴 수 없다는 절박감이 배어 있다.
홍준표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대통령을 만나서 한나라당이 요구하는 서민예산 증액 부분을 검토해 줄 것을 요청했고 소득세 최고구간 신설 문제도 함께 검토해 줄 것을 요청했다" 면서 "내일 쇄신연찬회 끝난 후에 당ㆍ정ㆍ청이 다시 만나서 이 두 가지 문제에 대한 조정작업을 이번 주 내에 결정을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서민정당으로의 변신이 내부 공감대를 통해 강한 추진력을 발휘하고 있는 반면, 당의 쇄신여부를 가늠할 또 하나의 과제인 공천 문제와 관련해서는 좀처럼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쇄신 의미가 없다"는 쪽에서는 지도부 퇴진부터 공천시스템 전면 개편론을 들고 나오지만, "당의 안정감과 분열되지 않는 모습이 필요한데 현재로서는 지도부가 사퇴할 경우 대안이 없다"는 현실론도 만만치 않다. 결국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지도부 유지-강력한 공천 개혁'으로 타협점을 찾게 될 것이란 관측이 유력하다.
양춘병 기자/yang@heraldm.com
◆ 골프, 싱글로 가는 길 "따로 있다고"?
◆ 기온 뚝! 비염환자 급증, 마사지가 해답!
◆ 나도 싫은 내 입냄새, 30초면 해결?
-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