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전 자제'→'막대한 응징'..대통령의 진의는?

김춘동 2010. 11. 24. 08: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靑, 이 대통령 초기발언 번복하면서 진위여부 논란폭격 직후 '안이한 대응' 지적에 발언수위 높인 듯'확전 자제'에 방점..당장 무력대응 가능성은 낮아

[이데일리 김춘동 기자] 북한의 연평도발 이후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진위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청와대는 전날 연평도발 직후 긴급 소집된 청와대 외교안보수석회의에서 이 대통령의 첫 일성으로 "확전되지 않도록 관리하라"는 발언을 소개했다. 이 대통령의 첫 발언이 전해진 시간은 북한의 포격이 시작된 지 한 시간가량 지난 전날 오후 3시30분경이었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후 이 대통령 발언을 "단호히 대응하되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는 것으로 정정하면서 `단호한 대응`에 방점을 찍었다.

오후 4시께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의 브리핑에선 한 발 더 나아갔다. 홍 수석은 "`확전되지 않도록 관리하라`는 발언은 와전됐다. 대통령이 직접 그런 말을 하진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후 청와대가 전한 이 대통령의 발언 수위는 더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하벙커에 마련된 위기관리센터에서 직접 군사작전을 지휘하면서 북한의 포탄이 날아오고 있다는 보고를 받은 후 "몇 배로 응징하세요"라고 지시하고, 경우에 따라선 해안포 부근의 북한 미사일 기지를 타격해도 좋다는 명령을 내리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동참모본부를 전격 방문한 자리에선 "우리 군은 성명 발표와 같은 행정적인 것보다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며 "백 번의 성명보다 행동으로 대응하는 것이 군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또 "아직도 북한이 공격태세를 갖추고 있음을 볼 때 추가 도발에 대해 몇 배의 화력으로 응징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다시는 도발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한 응징을 해야 한다"며 원색적인 표현까지 동원했다.

이 대통령의 발언 수위가 점차 높아진 것은 초기 대응이 너무 안이했다는 지적에 따른 것으로 관측된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할 대통령이 북한의 명백한 도발에 대해 맞대응하기보다는 사태가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대응 수위를 조절하라는 뉘앙스로 비춰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대통령의 첫 발언이 전해진 후 여권 내에서도 `확전 자제` 발언이 너무 일찍 언급됐다며 비판이 제기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수위가 급격히 높아지긴 했지만 이 대통령 발언의 진의는 `확전 자제`에 방점이 찍힌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일반적이다.

"몇 배로 응징하세요"라는 발언은 북한의 포격에 이은 대응사격 과정에서 나온 지시사항이며, 합참 방문 당시 "몇 배의 화력으로 응징해야 한다. 막대한 응징을 해야 한다"는 표현도 `북한의 추가 도발이 있을 경우`라는 단서를 달았기 때문이다.

북한의 포격 이후 "우리 군의 대응사격이 충분했다. 북한의 피해도 상당했을 것"이라고 밝힌 대목도 이러한 관측을 뒷받침한다.

정부의 공식성명 역시 "북한의 포격행위는 명백한 무력도발"이라면서도 "추가 도발시 단호히 응징할 것"이라며 당장의 무력대응엔 일단 선을 긋고 있는 모습이다.

▶ 이데일리ON, 문자로 시세,추천,진단,상담정보 - #2200▶ 이데일리 모바일 - 실시간 해외지수/SMS <3993+show/nate/ez-i> ▶ 가장 빠른 글로벌 경제뉴스ㆍ금융정보 터미널, 이데일리 MARKETPOINT<ⓒ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안방에서 만나는 가장 빠른 경제뉴스ㆍ돈이 되는 재테크정보 - 이데일리TV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