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은 대통령 분신" 우병우 호위 나선 眞朴
[동아일보]
우병우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의 거취를 둘러싼 여권 내 파열음이 커지고 있다. 여권 주류인 친박(친박근혜)계 내부에서도 우 수석의 퇴진을 두고 ‘불가론’과 ‘불가피론’이 맞서는 형국이다. 야권은 우 수석 퇴진을 정권 흔들기로 규정한 청와대를 향해 맹공을 퍼붓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22일 국무회의에서 우 수석 사태와 관련해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새누리당 지도부도 마찬가지였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3시간에 걸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오늘 우씨 성(姓)을 가진 사람 얘기는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고 전했다. 정국 최대 현안을 제쳐놓고 41개 정책 현안에 대해서만 의견을 나눴다는 것이다. 여권 수뇌부는 상당 기간 우 수석 비리 의혹이든, 이석수 특별감찰관의 감찰 내용 유출 의혹이든 일단 검찰 수사를 지켜보자는 태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권 내 물밑 기류는 심상치 않다. 우 수석 사태가 장기화할수록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게 터져 나올 분위기다. ‘우병우 시한폭탄’이 가동되고 있다는 얘기다.
당장 이날 의원총회가 그랬다. 현 정부에서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낸 정종섭 의원은 의총이 끝날 무렵 “이 특별감찰관이 우 수석에 대해 검찰 수사를 의뢰한 것은 고발할 만한 증거가 나오지 않았다는 의미”라며 “주요 당직에 있는 사람이 대통령 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수석비서관의 진퇴를 공개적으로 발언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쏘아붙였다. 사실상 정 원내대표를 겨냥한 것이었다.
이에 정 원내대표는 “(정당은)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이 모인 것이지만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다. 더는 얘기하지 않겠다”며 의총을 끝낸 뒤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고 한다. 우 수석 퇴진을 둘러싼 여권 내 ‘인식 차이’가 ‘감정싸움’으로 번지고 있는 셈이다. 친박계 내부의 분화(分化)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범친박계 중진인 정우택 의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 눈높이로 봤을 때 현직 민정수석이 검찰 조사를 받는 건 합당치 않다”고 우 수석의 퇴진을 주장했다. 반면 친박계 김진태 의원은 “(우 수석은) 정권 흔들기의 희생양”이라며 “신문에 (의혹이) 났으니 무조건 옷 벗고 내려오라고 하는데, 문제를 제기한 언론사도 이게 사실이 아니면 전부 폐업할 것이냐”고 우 수석을 옹호했다. 이정현 대표는 우 수석의 거취와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일절 답변하지 않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민정수석 하나 때문에 나라가 이렇게 흔들려야 하는지 박 대통령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며 “우 수석과 이 특별감찰관을 모두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시키자”고 여권을 압박했다.
국민의당은 청와대 관계자가 전날 “일부 언론 등 부패 기득권 세력과 좌파 세력이 우병우 죽이기에 나섰지만 현재까지 입증된 게 없다. ‘우병우 죽이기’의 본질은 임기 후반기 식물정부를 만들겠다는 의도”라고 주장한 점을 집중 공격했다. 이용호 원내대변인은 “우 수석이 버티는 것이야말로 현 정부를 식물정부로 만든다는 사실을 청와대가 깨달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정호준 비상대책위원은 청와대가 부패 기득권 세력으로 규정한 특정 언론사의 실명을 거론하기도 했다.
이재명 egija@donga.com·송찬욱 기자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골라보는 움짤뉴스 '말랑' 다운받고 이모티콘 받자]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경찰청장 "61건 요청받아 43건 제출.. 나머지도 소명"
- 이석수특감 "사퇴? 의혹만으론 안 나가는게 정부방침 아닌가"
- 헌재, 尹탄핵심판 사실상 결론냈다…오늘 의견 밝히는 평결 마쳐
- 헌재 인근 상가 입간판-유리병 치우고 주유소 문 닫는다
- ‘尹선고’ 생중계…일반 20명 방청, 9만명 신청 몰려
- 尹측 “승복 메시지 계획 없다”…尹은 별도 언급 안해
- “손 시려워 잡초 태우다…” 옥천·영동 산불 낸 80대 혐의 시인
- “가족 찾아야” 방콕 지진속 붕괴 52층 다리 뛰어넘은 한국인
- 머스크 “13번째 자녀? 내 아이인지 모르겠지만 양육비 37억 줬다”
- 미얀마 군부 정보 통제에 사망자 집계 불신…반군 거점 구호도 차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