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남은 천안함 얘기를 하지 않았다"
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장남 김정남(41)이 일본 기자와 주고받은 이메일에 천안함 침몰사건은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지난 17일자 기사에서 '김정남 "천안함, 北의 필요로 이뤄진 것"'이라는 제목으로 마치 김정남이 2010년 3월23일 발생한 천안함 사건을 북측 소행으로 시인한 것처럼 보도했다. 저자는 조선일보 보도를 "완전한 오보"라고 밝혔다.
도쿄신문 고미 요지(五味洋治·54) 편집위원은 18일 경향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김정남이 이메일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천안함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며 "조선일보의 지난 17일자 보도가 사실과 전혀 다르다"고 말했다. 고미 위원은 "김정남이 연평도 사건과 관련해 서해5도에 관해 언급한 게 있어 조선일보가 나름대로 해석한 것인지는 모르겠다"며 "조선일보의 명백한 오보"라고 말했다.
고미 위원은 2004년부터 올해 1월3일까지 김정남과 150여 차례 이메일을 주고 받았고, 지난해 1월과 5월 두차례 만나 인터뷰를 했다. 이를 바탕으로 쓴 <아버지 김정일과 나>(문예춘추)가 이날 일본에서 출간됐다.
책에 따르면 김정남은 고미 위원에게 2010년 11월26일 보낸 이메일에서 연평도 포격사건을 "북한이 한국을 포격한 배경은 교전 지역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핵 보유나 군사 우선 정치의 정당성을 가지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김정남은 전날인 11월25일 "전 세계가 동생(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을 나쁘게 보는 것에 마음이 아프다. 나는 동생이 민족의 덕망이 높은 지도자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동생이 동족에게, 민간인에게 포격을 가해 악명 높은 지도자로서 묘사되지 않길 바란다. 이 얘기는 동생을 보좌하는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다"고 적었다.
그러나 김정남은 천안함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고미 위원은 "천안함은 내가 물어본 적도, 김정남의 답변을 받은 적도 없다"며 "한국 보도를 보고 놀라 내가 책을 잘못 썼나 싶어 다시 확인했다"고 밝혔다.
<도쿄 l 서의동 특파원 phil21@kyunghyang.com>
경향신문 '오늘의 핫뉴스'
▶ 심야고속버스 운전사 쓰러지자 승객들…
▶ 이외수 일침… "뇌를 분실하셨나"
▶ '노무현'이 돌아왔네!
▶ 정봉주, 결국 이감…나꼼수 "황당"
▶ 일진, 경찰관 한마디에 그만…
모바일 경향 [New 아이폰 App 다운받기!]| 공식 SNS 계정 [경향 트위터][미투데이][페이스북][세상과 경향의 소통 Khross]-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문에선 출마 말렸는데…” 탄핵 선고 하루 전, 파평 윤씨 집성촌은
- [단독] 재작년 단 400만원…나경원 일가 중학교가 ‘찔끔’ 낸 이것
- 전한길·전광훈 선 못 그으면서···‘김어준 지령설’ 펴는 국민의힘
- “윤석열 석방 화나서 감옥살이 못하겠다” ‘돈봉투 무죄’ 송영길 항소심 시작
- “빨간불 뜨면 해고, 마치 ‘오징어 게임’ 같았다”…만우절 농담 같았던 ‘마지막 출근’
- “윤 정부는 다르다” 장담하더니···3년간 대통령도, 여당 대표도 4·3 추념식 불참
- 도이치 주가조작 유죄 확정…검찰, ‘김건희 불기소’ 뒤집고 재수사할까
- [속보]‘선거법 위반’ 홍남표 창원시장 당선무효형 확정···홍 “사실과 달라”
- 해운대 존속살해사건 30대 용의자, 친형 살해혐의 추가
- 어도어 “민희진 없는 뉴진스 가능, 합의 원해” vs 뉴진스 “신뢰회복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