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식의 정치가 뭐길래] JP, 안철수와 25일 냉면회동..반-안 다리 놓나
김종필(JP) 전 국무총리가 오는 25일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와 만찬 회동을 하기로 한데 대해 정치권이 주목하고 있다. 회동은 JP가 지난 8월 인사차 자택으로 찾아온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에게 “안 전 대표와 냉면 한번 먹자”고 제안해 이뤄졌다. 당초 지난달 9일 만날 예정이었으나 JP 측 사정으로 연기됐다. 박 위원장도 만찬에 함께 한다.
세 사람의 만남이 주목되는 이유는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로 꼽히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안 전 대표간 연대론이 제기되는 시점에 이뤄졌기 때문이다. JP는 반 총장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지난 5월 자신의 집을 찾아온 반 총장과 배석자 없이 약 30분간 대화를 나눴다. 반 총장은 인사차 방문이라고 했지만 ‘충청권 맹주’로 불렸던 JP와 만남은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반 총장도 충청(충북 음성) 출신이어서 내년 대선과 관련해 ‘충청 대망론’이 흘러나왔다.
JP는 최근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강창희 전 국회의장 등과 만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반 총장 예방을 받았을 당시를 언급하며 “반 총장이 확실히 (대선 출마)결심을 한 것 같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렇게 판단한 배경이 무엇이냐”는 물음에는 “그것은 비밀”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원내대표는 지난달 유엔본부에서 반 총장 면담 당시 “결심한 대로 하시되 이를 악물고 하셔야 한다. 마지막으로 혼신을 다해 돕겠다”는 JP의 메시지를 전했다고 밝혀, 왜곡 논란이 일기도 했다.
JP는 박 위원장과 만났을 때도 약 30분 비공개로 얘기를 주고받았다. JP와 박 위원장은 1997년 대선에서 이른바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을 통해 호남과 충청의 표심을 묶어 정권 창출에 성공한 바 있다. 김대중 정부에서 JP는 국무총리, 박 위원장은 문화부 장관을 맡아 내각에서 호흡을 맞추기도 했다.
때문에 JP가 이번 회동에서 반 총장과 안 전 대표간 가교 역할을 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JP는 줄곧 내각제를 주장해왔다. 이 자리에서 그는 내각제에 기반한 연대를 권유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반 총장과 안 전 대표 모두 외연 확장이 절실하다. 반 총장 측 관계자는 “친박(친박근혜)계 주류에서 강력하게 밀고 있고, TK(대구·경북)·충청 연대론도 나오지만 반 총장이 대권을 잡기 위해선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는 물론 제 3지역으로 지지세 확대는 필수”라고 말했다.
안 전대표도 정치적 위상이 위축되고 있어 반전 계기 마련이 필요하다. 국민의당 지지기반인 호남 지역과 전국 지지율 모두 하락하고 있다.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당 전국 지지율은 지난 4월 4주차 23%에서 10월 2주차(10월11일~13일, 전국 성인 1026명 조사.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엔 12%로 반토막 났다. 호남 지지율은 같은 기간 48%에서 27%로 급락했다. 안 전 대표 지지율도 4월 4주차 21%에서 10월 2주차 9%로 떨어졌다.
안 전 대표는 최근 당 안팎의 인사들과 접촉하며 외연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 11일에는 동교동계 출신 원로인 권노갑·정대철 당 상임고문과 오찬회동을 하면서 대선 행보와 당의 진로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반-안 연대’ 시나리오가 등장한 직후 ‘여권이 분화되면 여권 후보가 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여권이 쪼개지면 그게 계속 여권이냐”고 반문한 바 있다.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가 나온다면 함께할 수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졌다.
다만 안 전 대표 측은 정치권의 어른이 보자고 해 뵙는 것이라고 정치적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안 전 대표가 개헌에 대해 권력구조 개편 보다 기본권과 관련해 국민 동의를 구하는게 순서라고 말했다. 내각제를 고리로 한 연대에 대해 부정적인 뜻을 나타낸 것이어서 회동을 계기로 ‘반-안 연대론’이 당장 탄력을 받을지는 미지수다. 다만 JP와 회동을 마다하지 않아 나름대로 정치적 계산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홍영식 선임기자 yshong@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호텔 "한국 손님 못 받겠다"..'김영란법' 눈총
- "남 앞에서 벗을 수 있어야" 연예인 지망생의 눈물
- 흔들리는 '라면 왕국' 농심..어쩌다 이런 일이
- "사모님, 날짜 지난 김을 주시면.." 경비원의 분노
- 귀에 손가락 대고 통화를?..정체 봤더니 '깜짝'
- AI 챗봇에 '尹 탄핵 결과 어떻게 예상하나' 물어보니…
- 'K방산' 훨훨 나는데…'이대로 가다간' 대형 악재 못 피한다
- '한국 맞나' 아침부터 중국인 바글바글…강남에 무슨 일이
- 제주 5성급 호텔 10만원대?…"객실 절반이 비었다" 무슨 일
- '1조 대박' 오리온 또 일냈다…초코파이마저 제친 '이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