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가 고위공직이면 사회복무도 '꿀보직'으로"

2016. 9. 18. 17: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중로 "4급 이상 공직자 아들 10명중 7명꼴로 '선호시설' 근무"

김중로 "4급 이상 공직자 아들 10명중 7명꼴로 '선호시설' 근무"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기자 = 국민의당 김중로 의원은 18일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하는 고위공직자 아들 대다수가 행정업무 보조를 하고 있다"며 "군 대체복무마저 금수저, 흙수저가 있느냐"고 비판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 의원이 병무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현재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 중인 4급 이상 고위공직자의 아들 145명 중 101명은 국가기관·공공기관·지방자치단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10명 중 7명이 사무보조·민원안내·상담 등 단순 행정업무를 주로 하는 이른바 '선호시설'에서 일하고 있는 셈이란 지적이다.

반면 상대적으로 업무량이 과중해 선호도가 낮은 양로원, 장애인복지관 등 사회복지시설 또는 소방·지하철·보훈병원 근무자는 43명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특히 "검찰, 대통령비서실, 국무총리비서실, 감사원, 외교부, 국세청 등 권력기관에 근무하는 아버지를 둔 아들들은 모두 교육지원청, 구청, 대학, 중앙도서관, 헌법재판소 등 흔히 말하는 '꿀 근무지'에 배치돼 있다"고 말했다.

또 "최초 사회복지시설로 배정됐던 인원을 지자체·공공기관으로 재배치한 사례도 있다"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병무청은 1차적으로 본인이 근무지를 선택하고 근무지 정원을 초과할 경우 무작위 추첨을 통해 근무기관을 배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minaryo@yna.co.kr

☞ 난자 없이 정자만으로 새끼 쥐 태어나게 했다
☞ 지드래곤, 日 고마쓰 나나와 열애설…사진 유출돼
☞ 가위로 찌르고, 잠 안재우고, 술 먹이고…초등딸 학대한 친엄마
☞ 남편은 집주소 안알려주고 이사가고, 부인은 시어머니에 막말
☞ '정신질환' 20대 흉기 들고 도심 거리 배회하다 붙잡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