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외교관 출신 반기문, 밀리터리 멘털리티가 없다"

박성현.박지현.전민규 2016. 8. 17. 02: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월간중앙서 문정인 교수와 대담문정인 "반 총장 대통령 된다면남북관계 개선, 국민 통합할 것김무성 전 대표가 집권한다면강력한 대북 압박 가능성 있어"이해찬 "총리 때 겪은 당시 반 장관재해 지원금 보니 깜 아니구나 생각"
무소속 이해찬 의원(전 총리·왼쪽)과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가 지난 9일 노무현재단에서 내년 대선 전망과 사드 배치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전민규 기자]
노무현재단 이사장인 이해찬 의원(무소속)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 대해 말문을 열었다. 이 의원은 지난 6월 반 총장과 미국 뉴욕에서 만날 예정이었으나 일정이 알려지자 전격 취소했다.

그런 이 의원은 지난 9일 월간중앙이 주최한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와의 대담에서 반 총장과 관련한 여러 뒷얘기를 소개했다. 이 자리에서 이 의원은 “반 총장은 외교관 출신이라 기본적으로 밀리터리(군사) 멘털리티가 없는 분”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이 언론과 인터뷰(대담 형식 포함)에 나선 건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이라고 참모들은 전했다. 이 의원의 대담 내용은 17일 발매되는 월간중앙 9월호에 실린다. 다음은 주요 대담 내용.

Q : 새누리당이 정권 재창출에 성공할 경우 다음 대통령은 지금과는 다른 대북 접근 방식을 꾀하지 않을까.
A : ▶이해찬=“새누리당이 재집권해도 차기 대통령은 이렇게 가는 게 나라에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할 것이다. (여권에서) 누가 집권하더라도 남북관계가 이렇게 얼어붙어선 정치·외교·안보 측면에서 안정을 꾀하기 어렵다. 중국과 사이가 틀어질수록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과 금융자본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발생하니까.”

▶문정인=“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대통령이 되면 접근 방식이 달라질 것이다. 근데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집권한다면 한·미 공조를 강화하고 강력한 대북 압박정책을 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누구를 중심으로 정권을 재창출하느냐에 따라 집권여당의 대외 정책의 성격이 달라질 것이다.”

Q : 반 총장은 ‘남북대화의 길을 다시 찾아야 하며 어떤 형식이든 도움을 주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는데.
A : ▶문정인=“지난해 만나기도 하고 예전에도 얘기를 해봐서 아는데 이건 확실하다고 본다. 반 총장이 대통령이 된다면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국민통합에도 나설 것이다.”

▶이해찬=“누차 얘기했는데 외교관은 정치를 못한다. 비단 반 총장뿐만이 아니라 다른 외교관들도 그랬다. 정치의 본질은 뭔가? 갈등 현안을 타결하고 어려운 숙제를 푸는 자리다. 그러자면 몸에 물을 묻히면서 흙탕물을 건너기도 해야 한다. 그게 정치적 리더십인데 외교관은 그런 일 절대 안 한다. 외교관 출신 중에 지역구 국회의원이 된 사람이 누가 있나?”

▶문정인=“19대 국회 당시 새누리당 심윤조(서울 강남갑)·김종훈(서울 강남을) 의원 등은 외교관 출신 아닌가.”

▶이해찬=“서울 강남구는 선거라고 할 수 없는 곳이니까.”

Q : 전체 외교관으로 일반화하는 건 곤란하지 않나.
A : ▶이해찬=“애매모호하고 두루뭉술한 외교적 언어와 사고방식에 익숙한 게 외교관이다. 최규하 대통령은 돌다리도 두드려 보고 안 건너간다고 그랬다.”

Q : 반 총장 측은 유엔이라는 국제무대에서 그가 매일같이 결단력과 조정력을 발휘한다고 했다.
A : ▶이해찬=“괜히 하는 소리지. 유엔에서 사무총장이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 유엔에 가보니까 사무총장은 판공비도 변변히 없다. 직원들 밥 한 번 사기에도 벅차다. 전용기가 없어 방문국의 항공기를 빌려 타는 신세다. 유엔은 안보리 이사회 5개국 등 강대국 중심으로 돌아가는 조직이다.”

Q : 반 총장의 외교장관으로서의 일처리는 어땠나.
A : ▶이해찬=“2004년 당시 총리로 있을 때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에 지진·해일 참사가 발생한 일이 있다. 반기문 장관의 대처를 보면서 ‘깜이 아니구나’라고 느꼈다. 총리인 나더러 현지 방문을 요청하면서 100만 달러를 원조 자금으로 쥐어 주는 거다. 당시 일본이나 중국은 3억~5억 달러에 이르는 거액을 쾌척하던 때라 ‘이렇게 들고 가면 나라 망신 아니냐’고 되물었다. 그랬더니 지금 당장 남은 예산이 그 정도라고 하더라. 내심 ‘판단이 그것밖에 안 되는구나’라고 생각했다.”
2005년 1월 당시 이해찬 총리 주재로 열린 민관종합지원협의회에선 지원예산을 500만 달러에서 3년간 5000만 달러로 올렸다.

글=박성현·박지현 기자 park.sunghyun@joongang.co.kr
사진=전민규 기자

北 미사일 폭격 끝장···'바다의 사드'도 들여온다

[단독] 3형제 "고아로 살겠다"…6억 생긴뒤 찾아온 친모

"일어나, 완주해야지" 女5,000m서 빛난 스포츠정신

한국 꺾은 日 감독 박주봉, 누구? '배드민턴 神'

"박정아가 엑스맨" 패배 직후 악플 시달리다 SNS 폐쇄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