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 39.9 강기윤 29.1.. 엄용수 34.3 조해진 24%
[경남 창원성산]
2위 달리던 노회찬, 더민주 허성무와 단일화 뒤 선두로
본지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한 경남 창원성산 여론조사에서 정의당 노회찬 후보(39.9%)가 새누리당 강기윤 후보(29.1%)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당 이재환 후보는 4.5%였고, 지지 후보가 '없다' 또는 '모르겠다' 등 무응답은 26.5%였다. 정의당 노 후보와 새누리당 강 후보는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 투표 의향층에서는 46.9% 대(對) 32.2%였다.
경남 창원성산은 17·18대 때 권영길 전 민주노동당 대표가 열린우리당 및 통합민주당(현 더민주) 후보가 출마한 가운데에서도 당선됐었다. 19대 총선은 통합진보당과 민주통합당(현 더민주)이 단일화를 했지만 진보신당은 따로 후보를 낸 가운데 새누리당 강 후보가 당선됐다. 이번에 정의당 노 후보는 더민주와 단일화하면서 지지율이 올랐다. 단일화 발표(3월 29일) 이전인 지난달 20~22일 실시된 중앙일보·엠브레인 여론조사에서는 새누리당 강 후보 28.7%, 정의당 노 후보 23.6%, 더민주 허성무 후보 9.3%였다.
이 지역의 정당 지지율은 새누리당 32.5%, 더불어민주당 17.1%, 정의당 11.9%, 국민의당 10.6%였다.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파는 25.9%였다. 정의당 노 후보는 정의당 지지층에서 지지도가 96.2%, 더민주 지지층에서 74.9%, 국민의당 지지층에서 48.0%였다. 새누리당 강 후보는 새누리당 지지층에서 지지도가 72.7%, 국민의당 지지층에서 17.6%, 더민주 지지층에서 5.1%였다.
경남 창원성산 지역구의 19세 이상 성인 5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의 최대 허용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4.3%포인트, 응답률은 16.0%다.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밀양시장 지낸 엄용수 우세… 與 컷오프된 현역 조해진 고전
본지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한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 엄용수 후보(34.3%)가 무소속 조해진 후보(24.0%)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무소속 김충근 후보(7.0%), 국민의당 우일식 후보(4.0%), 무소속 이구녕 후보(0.6%)였다. 지지 후보가 '없다' 또는 '모르겠다' 등 무응답은 30.0%였다. 새누리당 엄 후보와 무소속 조 후보는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 투표 의향층에서는 37.2% 대(對) 28.7%였다.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은 이번에 기존 선거구인 밀양·창녕과 의령·함안·합천의 일부가 합쳐졌다.
무소속 조 후보는 18·19대 때 밀양·창녕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나와 두 번 모두 2위와 2배 이상 격차로 당선됐었다. 현재 이 지역 국회의원이다. 그러나 이번 새누리당 공천에서는 경선 기회조차 갖지 못하고 배제됐다. 조 후보는 이번 공천에서 함께 배제된 유승민 의원이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할 때 수석부대표로 활동했다. 또 옛 친이계로 이명박 전 대통령 당선을 도왔던 핵심 그룹 중 한 명이다. 당내에선 이 같은 조 후보의 경력 때문에 친박 주류들이 조 후보를 공천에서 배제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새누리당 엄 후보는 2006년 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밀양시장에 당선됐었다. 정권이 바뀐 2010년에는 한나라당으로 당을 옮겨 밀양시장에 다시 당선됐다.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에서 정당 지지도는 새누리당이 52.7%, 더불어민주당 10.0%, 국민의당 5.8%, 정의당 2.9%였다.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지역구의 19세 이상 성인 5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조사의 최대 허용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4.3%포인트, 응답률은 10.0%다.
[대구 북을]
野출신 무소속 홍의락, 與 양명모보다 30~50代 지지 높아
더불어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한 홍의락 전 의원이 새누리당 전통적 지지 기반인 대구의 북을 지역구에서 새누리당 양명모 후보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더민주 비례대표 의원 출신인 홍 후보는 37.3%로 27.1%인 대구시 약사회장 출신의 새누리당 양 후보를 10.2%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다음은 정의당 조명래 후보 5.4%, 친반평화통일당 박하락 후보 0.6% 등이었고 지지 후보가 '없다' 또는 '모르겠다' 등은 29.6%였다.
영남일보와 대구MBC가 지난달 30일 발표한 여론조사(오차범위 ±4.3%포인트)에서도 홍 후보 42.3%, 양 후보 26.8%의 지지율을 보였다.
무소속 홍 후보와 새누리당 양 후보는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 투표 의향층에서 46.3% 대 28.1%를 기록해 차이가 18.2%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홍 후보는 양 후보에게 60대 이상에선 29.4% 대 49.3%로 열세였지만 50대(46.8% 대 30.5%), 40대(40.6% 대 15.3%), 30대(44.7% 대 20.1%) 등 대부분 연령층에서 우세했다. 20대에선 홍 후보 22.4%, 양 후보 27.5%였다.
이 지역 정당 지지도는 새누리당(45.9%)이 더민주(11.4%)를 크게 앞섰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해서도 긍정 평가 59.4%, 부정 평가 36.7%였다. 하지만 새누리당 지지층에서 양 후보 지지가 46.4%였고 홍 후보 지지자도 3명 중 1명꼴인 33.8%였다. 박 대통령 지지층에서도 양 후보 지지(35.9%)와 홍 후보 지지(29.4%)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반면 더민주 지지층 또는 박 대통령 부정 평가자들은 홍 후보로 지지가 쏠렸다. 대구 북을 지역구의 19세 이상 성인 5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조사의 최대 허용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4.3%포인트, 응답률은 11.8%다.
[경기 평택을]
재선 노리는 유의동 31.9 … 김선기 24.9 이계안 10.9%
조선일보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한 경기 평택을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 유의동 후보(31.9%)와 더불어민주당 김선기 후보(24.9%)가 오차 범위(±4.3%포인트) 내에서 선두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두 후보 간 격차는 7%포인트였다. 이어 국민의당 이계안 후보 10.9%, 민중연합당 김현래 후보 2.6%였다. '지지 후보가 없다' 또는 '모르겠다'는 응답은 29.7%였다.
새누리당 유 후보와 더민주 김 후보는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 투표 의향층에서는 지지율 격차가 5.8%포인트로 좁혀졌다. 유 후보 35%, 김 후보 29.2%였다. 이는 새누리당 지지층의 적극 투표 의향(75.6%)보다 더민주 지지층의 적극 투표 의향이 82.7%로 더 높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 지역의 정당 지지율은 새누리당이 34.1%, 더민주가 19.9%였다. 국민의당은 12%, 정의당은 4.5%였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선 긍정 평가(44.5%)보다 부정 평가(48.2%)가 다소 높았다.
경기 평택을은 2008년 18대 총선 때는 야당, 2012년 19대 총선 때는 여당이 당선된 곳이다. 18대 때는 통합민주당 정장선 후보(48.1%)가 한나라당 박상길 후보(42.1%)를 6%포인트 차로 이겼다. 반면 19대 때는 새누리당 이재영 후보(44.9%)가 민주통합당 오세호 후보(42.7%)를 2.2%포인트 차로 이겼다. 직전 선거인 2014년 7·30 재선거 때도 새누리당 유의동 후보가 52.1%를 얻어 새정치민주연합 정장선 후보(42.3%)를 제치고 당선됐다.
경기 평택을 지역구의 19세 이상 성인 5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4.3%포인트이고, 응답률은 12.3%였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일종 37.1%로 앞서.. 한상율 20.9 조한기 19.8%
- 82 : 35 : 20 (새누리 : 더민주 : 국민의黨)
- 대구 북乙 홍의락 37.3 양명모 27.1%
- 2與·2野 구도.. 도종환 32.4 송태영 29.9% 접전
- 홍준표 “개헌 최우선 고려 요소는 헌재 폐지”
- 권영세 “개헌안 마련해 대선 때 국민투표 부치는 방안 추진”
- [속보] 조기 대선 6월 3일로 잠정 결정…내일 국무회의서 확정
- 주가 대폭락에도… 트럼프 “무역 적자 치료하는 유일한 약이 관세”
-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 관세전쟁 쇼크에 5% 급락
- Push grows for joint presidential and constitutional vote in 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