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김종인 영입때 비례대표 2번 제안했다
[서울신문]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의 4·13총선 이후 행보와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지난 16일 중견 언론인 모임인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그가 자신의 미래에 대해 내놨던 몇몇 언급들이 궁금증을 증폭시키고 있다.
김 대표는 토론회에서 “지난 대선을 끝으로 킹메이커 노릇은 더이상 안 한다”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총선 이후 당 대표 출마 가능성에 대해선 “그때 가서 판단해야지, 뭐라 말할 수 없다”고 여운을 남겼고, 직접 대선 후보로 나설 가능성에 대해서도 “목표를 갖고 이 당에 온 사람은 아니다”라며 여지를 뒀다.
이와 관련해 김 대표와 오랜 인연을 가진 야권 핵심 관계자는 17일 “깔끔하게 ‘법정 관리인’이나 하겠다고 더민주에 올 분은 아니다. 야권에 부채 의식도 없는 분 아닌가”라면서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당시 후보를 도우며 ‘킹메이커’로서의 역할에 한계와 회의를 분명히 느끼신 걸로 안다”고 말했다. 김 대표를 곁에서 지켜본 더민주 관계자는 “‘경제민주화=김종인’의 이미지는 큰 자산이다. 실제로 콘텐츠도 웬만한 ‘잠룡’보다는 준비가 돼 있는 분”이라며 “적어도 지금까지는 권력 의지보다는 명예욕이 강하신 분이다. 현재로선 본인도 어디까지 가겠다는 명확한 목표 의식보단 여백을 남겨 놓은 단계가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2017년 대선에서 ‘조역’이든 ‘주역’이든 김 대표의 역할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야권에서는 적지 않다. 김 대표가 비례대표 안정권을 받아 원내에 남는 편이 낫다는 의견도 같은 맥락이다. 실제로 김 대표는 영입 과정에서 문재인 전 대표 측으로부터 비례대표 2번을 제안받았다. 비례대표 1번이 여성임을 감안하면 문 전 대표 측에서도 가능한 예우를 모두 해 준 셈이다.
물론 현역 의원 20여명이 컷오프 또는 경선에서 탈락한 가운데 김 대표가 비례대표로 ‘배지’를 다는 데 대해 부정적인 시선이 커진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공천 과정에서 문재인과 김종인 두 사람의 교감은 없다. 당시는 뭔가를 약속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며 “김 대표가 비례대표를 맡아 원내에서 역할을 하는 게 누가 대권 주자가 되더라도 외연 확대 측면에서 야권의 마이너스는 아니다. 그분이 머릿속에 무엇을 그리고 있을지는 누구도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사석에서 “이번 총선은 김종인의 선거”라고 말한다. 본인이 목표로 설정한 107석 이상을 확보할 경우 그의 운신의 폭이 넓어지리라는 데 누구도 토를 달기 어려운 상황이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약탈당한 국보, 박물관 창고에..'충격'
- 김을동, 총선 앞두고 대한민국만세 이용? '논란'
- [속보] 분당 예비군 실종 신원창씨 숨진 채 발견
- '영국 고무신女' 한국 남친과 결별 왜? 눈물 펑펑
- 20대 농구선수, 유사성행위 마니아? 여친에게..
- “의원 배지 떨어진 설움” 민경욱 국회왔다 새차 견인당해
- 아파트 방화살인범 안인득, 무기징역 감형 불복 대법원 상고
- 목줄 없이 달려든 개에 놀라 전치 3주…견주 벌금 50만원
- “박사방 22GB 싸요 싸”… 아직도 조주빈은 있다
- “양질의 일자리 부족 가장 큰 원인… 직무능력으로 임금 받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