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김종인 뉴라이트 사관 '1948 건국론' 동조, 국민의당 "한상진에게 사과하라"

문동성 기자 2016. 1. 28. 19: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겸 선거대책위원장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선거대책위원장 겸 비상대책위원장이 대한민국 건국 시점을 1948년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28일 드러났다. 최근 더민주는 한상진 국민의당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의 ‘이승만 국부(國父)’ 발언을 두고 “이는 대한민국이 1948년 건국됐다는 ‘뉴라이트 사관’에서 나온 인식”이라며 강력 비판한 바 있다. 김 위원장도 ‘1948년 건국론’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야권의 역사 인식 공방은 더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2008년 7월 25일 정부가 건국 60주년을 기념한다며 주관한 ‘건국 60주년 국민 대강좌’에 연사로 참석해 “금년이 한국이 사람으로 얘기하면 회갑을 맞이하는 해”라고 언급했다. 이는 1948년을 건국의 기준으로 삼았다는 뜻이다. 이뿐 아니라 김 위원장은 2002년 한 언론사에 기고한 칼럼에서 “앞으로 한 달 뒤면 대한민국은 건국 54주년을 맞는다”고 했다. 2007년 다른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도 이승만 전 대통령을 ‘건국 대통령’이라고 지칭했다. 2012년 새누리당에서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을 맡았을 당시에도 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우리나라가 건국한지 60년 정도 지났다”고 말했다. 최소 10년 동안 일관되게 1948년 건국론을 견지해온 것이다. 돌출발언이라고 주장하기는 힘든 셈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도 이 전 대통령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긴 했지만 “국부에 대한 정의라는 게 나라를 세운 사람을 국부라고 흔히 얘기 하는데 나라를 세우신 측면에서는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지 모른다”며 건국론 자체는 부인하지 않았다.

이런 측면에서 더민주의 김 위원장 인선을 두고 ‘자가당착(自家撞着)’이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민주는 그간 1948년 건국론과 뉴라이트 사관을 비판해왔다. 지난해 11월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국 때는 ‘역사 전쟁’이라는 얘기가 나올 만큼 이 문제가 여야간 쟁점으로 등장했다. 더민주는 당시 “1948년 건국론은 이 전 대통령을 건국의 아버지로 포장하고 친일파들의 잘못을 미화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최근 한 공동위원장의 이승만 국부 발언이 나오자 더민주가 총공세를 편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재인 전 대표는 신년기자회견에서 “1948년에 대한민국이 건국됐다는 인식은 맞지도 않을뿐더러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훼손하는 말씀”이라고 비판했다. 표창원 비대위원은 트위터에서 “‘이승만 국부, 1948건국’ 주장하며 ‘수구적 보수 우파’라는 정체성을 밝혀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유권자와 시민들의 혼란이 많이 걷힐 듯 합니다”고 썼다. 문 전 대표는 경제민주화를 당의 총선 기조로 내세우기 위해 김 위원장을 ‘삼고초려’ 끝에 영입했다. 김 위원장의 역사인식이 주요 고려대상은 아니었다는 말이다. 하지만 1948년 건국론이 뉴라이트 사관의 핵심 줄기를 이룬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의 역사 인식이 더민주의 정체성과 배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김 위원장 스스로 이승만 전 대통령을 ‘건국 대통령’이라고 표현해 ‘건국절’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아 보인다"며 "한 위원장의 발언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자신의 발언에 대해서도 먼저 사과를 한 뒤 지적을 해야 맞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더민주는 "김종인 위원장이 2002년 언론 기고 칼럼, 2007년 언론 인터뷰 등에서 ‘건국’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건국절을 둘러싼 논란이 일어나기 전의 일로 정부 수립이라는 뜻으로 사용한 것일 뿐이다"고 해명했다. "이를 두고 뉴라이트들의 건국절 주장과 일치한다고 하는 것은 지난친 지적"이라고도 했다. 특히 더민주는 "김 위원장은 초대 대법원장이자 독립운동가인 가인 김병로 선생의 손자로서 대한민국이 1919년 상해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고 있다는 헌법 전문의 정신을 존중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이 건국 60주년 국민 대강좌에 직접 참여해 1948년 건국론에 동조하는 발언을 한 2008년은 건국절 논란이 뜨거웠던 해였다. 그해 정부는 국무총리 산하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기념사업위원회'를 출범시키는 등 뉴라이트 사관을 전폭 지원했다. 정부 주관으로 다수의 기념사업들이 개최됐으며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정갑윤 의원 등은 그해 7월, 8월 15일을 '광복절'이 아닌 건국절로 기념하자는 법률안까지 발의했다가 여론의 반발로 철회했다. 이명박 당시 대통령은 8월 15일 광복절 기념사에서 '대한민국 60주년'을 선언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은 2012년에도 1948년 건국론에 동조하는 발언을 하는 등 2008년 이후에도 같은 입장을 고수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여론의 동향을 주의 깊게 파악하는 김 위원장의 성향상 당시 건국절 논란에 대해 몰랐을 리는 없다"며 "이후에도 비슷한 발언을 한 것으로 봤을 때 본인의 소신이라고 봐야하지 않겠나"고 말했다.

문동성 고승혁 기자 theMoo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