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전략공천 NO'에 친박 "靑향한 선전포고"
공천지분 최대한 확보위해 강공 드라이브 기조 분석도親朴 "결국 족쇄 될 것" 金측 "黨대표로선 안하고 靑서 명단 주면 수용 뜻"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4일 "전략 공천은 단 1명도 하지 않겠다"고 한 발언이 여권 전체에 파장을 낳고 있다. 참신한 인물의 등용을 위한 전략 공천의 필요성을 주장해온 친박(친박근혜)계 주류 진영에선 김 대표의 발언이 사실상 청와대를 향해 작심하고 한 '선전포고'라는 평가를 내놨다.
그러나 김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강행 의지를 재천명하면서 한편으론 야당의 비협조와 친박의 반발 등을 고려해 현실적인 출구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발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오픈프라이머리를 반드시 하겠다"가 아니라 "전략 공천을 하지 않겠다"고 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친박계 핵심 관계자는 25일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김 대표의 전략 공천 발언은 결국 자기 발을 묶는 족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가 청와대와 친박의 압박에 굴복하거나 현실적으로 전략 공천이 필요하다는 당내 여론을 받아들여 일정 수준의 물갈이용 전략 공천을 단행하게 되면 김 대표 스스로 발언을 뒤집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김 대표가 구태 정치 청산을 명분으로 전략 공천 가능성을 사전 차단함으로써 청와대와 친박계에 공천 개입을 포기하라는 경고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도 "계파 밀실 공천을 안 하겠다는 자신의 의지를 강하게 표출하다 보니 과도한 표현을 쓴 것"이라며 "정치 생명을 건다는 발언과 마찬가지로 오해를 살 수 있는 내용"이라고 우려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김 대표의 전략 공천 불가 발언과 관련, "청와대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인물이 총선에 출마하는 것은 100% 개인의 자유지만 총선 출마가 전략 공천에 의한 것이 아니고 경선을 거쳐야 한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하지만 또 다른 김 대표의 측근은 "'당 대표로서' 안 하겠다는 얘기로, 만약 청와대가 전략 공천 명단을 준다면 거절하진 않겠다는 뜻"이라고 전했다.
청와대와 김 대표 사정에 두루 정통한 한 인사도 "오픈프라이머리를 무조건 고집하지는 않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였다"면서 "김 대표가 제2선으로 양보할 가능성이 엿보인다"고 강조했다.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