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또 괴담 유포"-이재명 "종북 몰이"..SNS 난타전
[한겨레] 이재명 시장, '남북 포격사건 의혹 기사'' 트위트 하자
하태경 의원 "또 괴담 퍼트려…종북 아닌 종괴" 비난
경기도 연천 포격 사건을 둘러싼 남북고위급 회담이 사흘째 이어지는 가운데, 이재명 성남시장과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이 포격 사건을 두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설전'을 주고받아 화제다.
'설전'은 이재명 성남시장이 21일 자신의 트위터에 미디어 비평매체인 <미디어오늘> 기사 링크를 올리면서 시작됐다. '북에서 먼저 포격? 연천군 주민들은 왜 못들었을까'라는 제목의 21일치 기사였다.
기사에서 <미디어오늘>은 북한이 20일 남쪽으로 포를 쏜 적이 없으며 '있지도 않은 구실'을 대고 있다고 비난하는 내용의 '인민군 최고 사령부 긴급보도'를 냈다고 보도했다. 또 <연합뉴스>를 인용해 연천군 접경지역 주민들이 북의 포격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으나 군 당국의 대응사격을 인지한 뒤 대피했다고 전했다. 미디어오늘은 군 당국이 포탄 흔적 증거와 궤적 기록 등을 내놓으면 북의 주장에 따른 의혹을 불식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시장은 22일에는 페이스북에서 "통일 대박은커녕 전쟁을 걱정하게 생겼으니 정말 욕 나오는 우울한 밤"이라며 정부를 비판하기도 했다.
이 시장의 트위터가 널리 퍼지면서,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이 반박에 나섰다. 23일 하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재명 시장 또 괴담을 퍼뜨리는군요"라며 이재명 시장의 트위트 캡처를 공개하고 "북한의 포격에 대해 북한이 먼저 쏜 게 아닐 수도 있다는 의혹을 퍼뜨립니다. 그 꺾이지 않는 괴담 발굴 의지 하나만은 정말 높이 평가해줄만 합니다"라고 썼다.
이 시장 역시 페이스북을 통해 맞대응했다. 이 시장은 "정부발표 의문 제기기사를 단순트윗한 걸 보고 괴담 유포한다고 문제 삼으셨다. 대북관련 정부발표는 증거가 완벽하든 아니든 합리성이 있든 없든 무조건 믿어야 되는데 믿지 않는 건 사상이 의심스럽다는 식의 일종의 종북몰이"라고 답했다. 또 "단 한 번도 종북이었던 적 없고 지금도 종북 싫어하며 국가안보 걱정하는 입장에서 공개질의 합니다. 하 의원님 본인이 한때 극렬 종북이었던 사실이나 하 의원님 소속 정치집단이 북한에 돈 주고 총격유도 시도한 반국가적 안보침해 종북행위 먼저 공개사죄하는 게 어떠십니까?"라고 말했다. 하태경 의원이 대학생 시절 NL계 학생운동에 몸담았던 사실과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에서 북에 도발을 부탁했던 '총풍' 사건을 함께 비꼰 말이었다.
하 의원은 24일 다시 페이스북에서 "괴담 퍼뜨리지 말라고 비판하니 자신을 종북몰이한다고 아우성이군요. 유감스럽게도 이재명 시장은 종북이 아닙니다"라며 "왜냐하면 이 시장은 종북이 아니라 종괴"라고 맞받았다. 하 의원은 "세월호 국정원 소유 괴담, 국정원 임과장 유서 대필 괴담, 게다가 최근 북한이 먼저 포격한 게 아니라는 괴담까지… 끝이 없습니다"라며 "제발 자중하고 성남 시정에나 전념하십시오"라고 덧붙였다.
논란이 불붙으면서 <조선일보>는 '성남 시장 "북이 포격? 연천 주민은 왜 못 들었나" 황당주장' 이라는 기사를 24일치 5면에 실었다. 새누리당도 24일 오전 김영우 새누리당 수석대변인이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이 무력시위를 멈추지 않는 와중에 북한의 명백한 도발을 의심하는 글을 SNS에 올린 이 시장의 행위는 국민적 지탄을 받아 마땅한 행위"라며 "북한은 우리 국민이 사재기를 한다는 등 어이없는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와중에 우리 내부에서 근거없는 괴담을 퍼뜨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이재명 시장을 비판하고 나섰다.
이 시장은 24일 오전 트위터에서 조선일보 기사를 소개한 뒤 "기사 제목을 이재명의 주장으로 둔갑시키는 절세의 종북몰이 조작술", "조선일보.. 그건 미디어오늘 기사를 공유한 것 기사 제목일 뿐 내 주장이 아니라네.. 다 알면서도?"라고 비판했다. 또 새누리당의 기자회견 내용을 인용한 기사도 소개하며 "새누리당이 총풍 사건 먼저 사죄하면 나도 사죄하죠. 국가 안보를 정권 안보에 이용해 먹고도 양심이 있어야지"하고 썼다.
논란이 거세지면서, '이재명'이란 키워드는 24일 낮 2시 현재 포털 네이버의 '실시간 급상승검색어' 1위를 차지하며 3위와 4위 남북고위급 회담, 회담을 제친 상태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배우 옆 김대중 얼굴 잠깐 비치자 방송국 '발칵'■ "박 대통령, 대면 보고 '기피증'…콘텐츠가 없는 탓"■ 잊고 싶은 과거 들추고 부풀리고…'찌라시 방송'■ [포토] 북한의 도발…'악순환의 현대사'■ [화보] 아! 바로 이 장면…'흑백의 역사'에 '컬러'를 입히다
공식 SNS [통하니][트위터][미투데이]| 구독신청 [한겨레신문][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