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혐뉴스] 거짓말쟁이 육군 "국민의 알 권리" 운운하며 현장 재연 강요

김동우 기자 2015. 5. 14. 15: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육군의 네 번 거짓말, 그럼에도 사고 피해자에게는 가해자 연기 강제해

군 당국이 끔찍했던 예비군 총기 난사 사건의 재연을 요구하며 '국민의 알 권리'를 운운했다. 현장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A군은 트라우마에 걸릴지도 모를 극심한 공포 상황에서 가해자 최모(24)군을 연기했다. 그렇게 '국민의 알 권리'를 운운하던 군은 사고 이후, 계속된 거짓말로 국민의 알 권리를 무너뜨리고 있다.

◇ 군, "국민의 알 권리" 운운하며 끔찍했던 총기 난사 현장 증언 강요

군은 부사수였던 A군에게 현장검증에 참여해 최씨 역할을 맡아라고 요구했다. 이 과정에서 언쟁이 일었다. A군은 "사건현장에 누가 가고 싶겠냐"며 거부했지만 군은 "국민의 알 권리가 먼저다"라며 기어코 사고재연을 시켰다. 당시 상황의 목격자는 "군 측이 정신적인 상처를 입더라도 현장검증에 나가달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서울 서초구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에서의 13일 상황은 끔찍했다 우울증을 겪고 있던 최군이 군의 허술한 총기 관리를 이용해 훈련 중이던 분대원들을 차례로 사살한 것이다. 1사로에 선 최군은 10발이 든 탄창을 지급받고, 영점사격으로 표적지를 한발 쐈다. 이어 '엎드려 쏴' 자세의 분대원들을 향해 차례로 총격했다.

왼쪽 사로 통제를 담당했던 중대장은 "다 내려가 도망가"라고 소리쳤다. A군은 미처 도망가지 못했다. 최군은 그를 쳐다보며 웃으며 총구를 겨눴다. 그리고 총구를 돌이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참혹한 잔상이 사라지기 하루도 안 돼, 군은 사고 조사를 위해 2차적 피해를 키운 셈이다.

◇ "국민의 알 권리 운운하던 군"의 첫 째 거짓말… "6개 사로있다"

육군은 13일 서울 내곡동 동원 훈련장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한지 4시간 이상이 지나서야 언론에 1차 브리핑을 했다. 이 자리에서 육군 관계자는 총기 사건이 터진 사격장에 모두 6개의 사로(사격 구역)이 있다고 밝혔다. 같은 날 육군은 오후 7시쯤 언론을 상대로 한 2차 브리핑에서 "사건 현장에는 20개의 사로가 있었다"고 말을 바꾼다.

사건 현장에는 대위급 장교 3명과 현역병 조교 6명이 배치됐다. 이들이 사로에 자리 잡은 20명의 예비군을 한꺼번에 통제했다. 육군은 첫 브리핑에서 사로 개수를 조교 숫자에 맞춰 조교 1명이 예비군 1명을 밀착 통제했다는 인상을 주려 했다.

◇ "국민의 알 권리 운운하던 군"의 두번째 거짓말… "고정장치 있었던 것 같다"

2차 브리핑은 사건이 발생한 지 무려 8시간이나 지나 열렸다. 기자들은 총기의 전방 고정 장치가 있었냐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육군 관계자는 "(총기 난사 가해자의 바로 옆) 2사로 총기는 (고정 장치에서) 빠져나와 있었고 3사로는 (고정장치가) 있었던 것 같다"는 모호한 답변을 했다. 1사로의 고정 장치를 묻는데 말을 돌린 것이다. 육군이 총기 고정 장치를 제대로 운영하지 않아 총기 난사 참극을 초래했다는 지적을 어떻게든 피하려 했다.

◇ "국민의 알 권리 운운하던 군"의 세번째 거짓말… 실탄 10발 규정 위반 발표 않아

육군은 1차 브리핑에서 총기를 난사하고 자살한 최군이 실탄 10발이 든 탄창을 지급받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것이 규정 위반이라는 언급은 하지 않았다. 이에 사건 직후에서는 "예비군 연대마다 규칙이 다르다"는 보도가 대다수였다.

2차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지적을 받고서야 육군 관계자는 "예비군 사격 훈련장서 1인당 실탄 9발 지급이 원칙"이라며 "사고가 난 부대에서 10발을 준 것은 실탄 개수를 쉽게 세기 위한 편의 차원"이라고 밝힌다.

◇ 군 사고 발생할 때마다 반복되는 육군의 끝없는 거짓말, 그럼에도 "알 권리 운운"

육군은 예비군 사격장에 얼마나 많은 조교가 배치돼야 하느냐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정해진 규정이 없고 부대 사정에 따라 다르다"는 애매한 답변을 늘어놓았다. 책임 소재를 축소하기 위해 은폐할 만한 것이라면 은폐부터 하고 보는 못된 습관이 들린 것이다.

지난해 6월 육군 최전방 일반소초(GOP) 총기 난사 사건때도 군은 부상당한 가해자로 위장한 트럭까지 보내며 취재진을 따돌렸다. 사고에 대한 각종 의혹과 관리 부실에는 언론보다 먼저 유족들과 접촉하기 위해 일반 병원 전체를 통제하며 취재진의 출입을 막았다. 책임질 일에 대해서는 철저히 침묵으로 일관하는 육군이 스스로 강조하는 "국민의 알 권리"를 얼마나 지킬 지는 두고 볼 일이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예비군 목숨 값은 X값?" 예비역 준장 월 연금 수준

▶[단독] "총기 사고 현장, 우리는 이러고 있습니다…" 트윗 고발 사진

▶사망자 명단 몰라 발만 동동… 훈련병 50여명

▶"가수 싸이, 총기난사 예비군 훈련장에 있었다"… 오후 스케줄로 조퇴

▶예비군 "내곡 훈련장, 총기 안 묶여 있었다" 증언 나와

▶"다 죽여 버리겠다" 예비군 총기난사범 유서 발견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난사… 2명 사망 3명 부상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