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내 여전한 '가혹행위' 악습..한 달 만에 4천건 적발
강신후 2014. 8. 4. 21:18
[앵커]
그동안 군은 기회 있을 때마다 구타는 거의 사라졌고 가혹행위도 크게 줄었다고 호언장담해왔습니다. 그런데 윤 일병 사건을 계기로 육군이 한 달간 가혹행위를 조사해봤더니, 무려 4천건 가깝게 집계됐습니다. 군에선 경기를 일으킬 말이겠지만, 문민통제를 실질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옵니다.
강신후 기자입니다.
[기자]
육군은 윤 일병 사건을 계기로 지난 4월 한 달 동안 전 부대를 대상으로 가혹행위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언어폭력과 불필요한 암기 강요, 구타 등 3,900여 건이 적발됐습니다.
내무반에서 은밀히 자행되는 폭력 앞에, 가혹행위를 뿌리 뽑겠다던 군의 장담은 공염불에 그친 셈입니다.
[손인춘/새누리당 의원 : 도대체가 군조직이 어디까지 곪아 터졌는지. 30년 전에도이런 일이 없었는데, 언젠가부터 군이 왜 이렇게 됐는지.]
뇌종양에 걸리고도 두통약만 처방 받다 숨지는가 하면, 당뇨를 앓던 훈련병이 부실한 치료로 목숨을 잃는 등 의료관리도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국방부 홈페이지 등에는 군에 자식을 보냈거나 보내야하는 부모들의 불안과 분노의 글이 넘쳐났습니다.
그런데도 군이 내놓은 대책은 재탕, 삼탕식에 불과합니다.
[윤후덕/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차라리 엄마한테 이를 수 있게 핸드폰을 지급해요.]
결국 가혹행위 문제를 군에만 맡겨서는 안되며, 국회가 주도하는 옴부즈맨 제도 등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JTBC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군 '윤일병 사건' 살인죄 검토..한민구 장관 대국민 사과
- "소원수리함? 몰래 꺼내 색출·보복하는 선임들도 있어"
- 군대 내 사건·사고 일파만파..임기응변식 조치 여전
- [여당] '윤 일병 사건' 분노한 국회..살인죄 가능할까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