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정부에 온 나·김장수·김관진이 당시 회담 준비서 NLL 포기 했겠나"

이지선 기자 2013. 7. 11. 22:4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병세 외교장관 입 열어..당시 정상회담 준비팀장

윤병세 외교장관(60·사진)이 입을 열었다. 그는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김관진 국방장관과 함께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의 진실을 알고 있는 3명 중 한 명으로 꼽히고 있다.

윤 장관은 1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정상회담 회의 준비과정에서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구상을 마련한 바 있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모두의 눈과 귀가 그의 입에 쏠렸다.

윤 장관은 "지난 정부에 있다가 이번 정부에 온 분 중 저와 김장수 안보실장, 김관진 국방장관이 외교안보 수장을 맡고 있다. 3명의 국가관과 안보관이 애매모호하다면 이번 정부에서 일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 각도에서 보면 어떻게 준비했는지 알 것"이라고 말했다.

즉답은 피했지만, 국가·안보관이 뚜렷한 사람들이 당시 회담을 준비했으므로 NLL 포기 구상은 없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졌다. 노무현 정부 출신으로 2007년 정상회담에 관여했고 현 정부에 몸담고 있는 관계자 가운데 처음으로 입을 연 것이다. 그는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은 현재로서 맞지 않는 것 같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윤 장관은 2007년 당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수석으로, 남북정상회담 추진위 멤버이자 청와대 정상회담준비 태스크포스 팀장을 맡았다. 그는 "제가 (당시) 수석이긴 했지만 사실 최근까지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보지 못했다"며 "회의록은 일부가 관여한 것 같고 수석을 포함해 대부분의 사람은 보지 못했다. 그 정도로 회의록은 대외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세 사람은 NLL 진실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며 "이제는 침묵이 도리를 다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더 이상의 침묵은 거짓을 인정하는 것"이라며 진실을 말해줄 것을 촉구했다.

< 이지선 기자 jslee@kyunghyang.com >

[경향블로그]

[사설] 고삐 풀린 국정원, 이대로 둘 수 없다

[구정은의 오들오들 매거진]국정원 논란, 미국 언론들의 시각

[김진호의 지구촌 우체통] "서해 NLL은 근거없이 그은 선"

[사설] 노무현 NLL 발언, 더 이상 왜곡은 안된다

[opinionX] 왜곡과 매도의 정치가 진실을 죽이고 있다 h

[기자 칼럼] 역시 존재감 있는 여당?

[바람구두의 쓸쓸한 풍소헌] 참 재미있는 나라, 대한민국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