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정원 국조' 치열한 전초전

2013. 6. 28. 06: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를 위해, 여야의 준비가 한창입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국정조사에 앞서서, 조사의 범위와 증인채택 등을 놓고 치열한 기싸움이 예상됩니다.

김범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회 본회의에 국정원 댓글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가 보고됐습니다.

따라서 국정조사특위는 늦어도 다음달 1일 새누리당 9명, 민주당 8명, 비교섭단체 1명 등 18명으로 구성되며, 국정조사 실시계획서를 작성합니다.

이 계획서가 다음달 2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면 비로소 국정조사 활동이 시작됩니다.

특위 위원장은 여야가 번갈아 맡는 관례에 따라 이번에는 민주당 몫입니다.

다만 국정조사 계획서 작성 과정에서 여야의 신경전이 예상됩니다.

우선 조사 범위를 놓고 충돌할 수 있습니다.

본회의에 보고된 국정조사 요구서에는 국정원 댓글 사건, 국정원 여직원 인권침해 의혹 등과 함께 '기타 필요한 사항'을 조사 범위로 규정했습니다.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한 거의 모든 사항이 망라된 것으로, 새누리당은 민주당의 국정원 전직 직원 매관매직 의혹을, 민주당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사전 유출 의혹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증인 채택에 있어서도 새누리당은 매관매직 의혹 및 인권유린 논란과 관련해 대선 당시 공동선대본부장이던 김부겸 전 의원 등 민주당 관계자들을 증인으로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민주당은 국정원 댓글 사건 관련자들은 물론 정상회담 회의록 사전 유출 의혹에 선 새누리당 김무성, 정문헌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의 증인 채택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여야 각 정당의 '저격수'가 총출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정조사로 하한 정국은 뜨겁게 달아오를 전망입니다.

뉴스Y 김범현입니다.

김병진 전 대림산업 회장 조세회피처에 유령회사(종합3보)
이정진 "중장년층의 '닉쿤'이 된 것 같아요"
'전두환 추징시효' 2020년까지 연장…가족 추징가능(종합3보)
북한 여자축구 8년 만에 한국 방문…동아시안컵 참가(종합)
朴대통령ㆍ시진핑 "한반도 비핵화 공동이익에 부합"(종합)

▶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인터랙티브뉴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