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또 野 재편 진앙..3년3개월 '롤러코스터' 정치행로
서울시장불출마→대권도전→후보사퇴→신당추진→야당 통합→다시 탈당
주요 고비 선택마다 정치 지형 충격파…이번엔 제1야당 분당 촉매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13일 탈당을 결행하기까지 정치권 입문 후 그의 정치 행로는 롤러코스터와도 같았다.
2012년 대선을 앞두고 '안풍(安風)'을 일으키며 혜성처럼 정치권에 등장한 후 3년 3개월의 짧은 정치경력이지만 야권의 유력 대선후보 부상과 단일화, 제1야당 대표 등극 후 사퇴 등 누구보다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안 전 대표도 최근 자신의 정치인생을 '압축성장'에 비유하며 "지난 3년이 30년 같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의사에서 성공한 벤처 최고경영자, 융합학 교수의 여정을 거친 안 전 대표가 정치적으로 부상한 것은 2011년 9월 서울시장직 도전 의사를 내비치면서부터다. 당시 안 전 대표는 지지율은 상당했지만 당시 박원순 변호사에게 후보 자리를 전격 양보하면서 신선한 충격을 안겨줬다.
이후 정치 관련 언급을 자제하던 안 전 대표는 2012년 9월 19일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현실정치 무대의 전면에 나섰지만, 그해 11월 23일 당시 문재인 민주당 후보와의 단일화 협상 진통 끝에 후보직을 던지고 말았다.
대선 당일 미국으로 출국한 안 전 대표는 이듬해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를 통해 원내에 첫 진입했고, 이후 1년 가까이 독자 신당 창당을 준비하며 정치구도를 흔들 '태풍의 진원지'로 성장했다.
그러나 안 전 대표는 6·4 지방선거를 앞둔 지난 3월 급작스럽게 민주당과 통합하면서 정치 입문 후 최초의 승부수를 던졌다.
당시 이 같은 결정을 두고 일각에선 '철수(撤收)정치'라는 비판과 결국 '도로 민주당'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지만 안 전 대표측으로서는 단숨에 제1야당의 지도자가 되면서 자신의 차기 대권 재도전을 위한 우군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품었다.
하지만 제1야당 당수로서의 첫 행보는 순탄하지 못했다.
6·4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았고 연이어 치러진 7·30 재보선에서 참패함으로써 리더십에 상처만 입은 채 4개월 만에 대표직에서 물러나게 됐다.
한동안 여론의 스포트라이트에서 벗어나있던 안 전 대표는 새정치연합이 4·29 재보선에 참패한 이후 위기 수습을 위해 문재인 대표에게 원내대표 추대론을 제안하는 등 서서히 정치의 중심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안 전 대표는 원내대표 추대론이 거부된 이후 문 대표로부터 인재영입위원장, 혁신위원장 등 중요 당직을 제안받았지만 모두 거부하면서 차츰 긴장관계를 높여갔다.
그리고 지난 9월 안 전 대표는 "혁신은 실패했다"는 선언으로 문 대표를 겨냥하면서 당의 혁신논쟁에 불을 지폈다. 이후 당내 부패척결, 낡은 진보청산 등을 위한 10대 혁신안을 내놓으며 문 대표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였다.
그러나 안 전 대표와 문 대표의 3개월에 걸친 혁신 '핑퐁게임'은 문 대표의 '문안박(문재인 안철수 박원순) 연대' 제안과 안 전 대표의 '혁신 전당대회' 개최 역제안 등을 서로 거부하면서 결별수순으로 들어갔고, 안 전 대표는 합당 후 1년 9개월만에 자신이 공동 창업주인 당을 떠나는 선택을 감행했다.
josh@yna.co.kr
- ☞ 제주공항, 20여분간 모든 통신장비가 먹통...불빛으로 관제
- ☞ 제약사 영업사원이 추천한 '신비한 명약' 속에는...
- ☞ 세모녀 생활고의 탈출구 '중고나라 사기'…20대 맏딸 실형
- ☞ 동업자 살해하고 시신 훼손한 30대 징역 30년 확정
- ☞ "콜롬비아반군, 임신 여성대원 강제 낙태시켜"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총선 D-4개월, '분열'로 접어든 野..10여년 이합집산史
- '물과 기름' 文-安, 끝내 루비콘강 건너며 결별
- 안철수, "고난의 길 가겠다"..11시 탈당 선언키로(종합)
- 尹 탄핵심판 선고일 방청신청 폭주…20석에 수만명 몰려 | 연합뉴스
- 주한미군, '계엄에 미군 투입 가능' SNS 주장에 "허위 정보" | 연합뉴스
- 故장제원 전 의원 부산 해운대백병원에 빈소…2일부터 조문(종합) | 연합뉴스
- 방콕지진서 무너지는 52층 다리 뛰어넘은 한국인…"가족 구하려" | 연합뉴스
- 머스크, '13번째 자녀' 확인 소송 중 "친자검사 반대는 안해" | 연합뉴스
- '지브리 프사 해볼까'…이미지생성 열풍에 챗GPT 이용 역대 최다 | 연합뉴스
- 외신 '만우절 기사' 찾기 어려워졌다…"가짜뉴스의 시대라서"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