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이 '배신의 정치' 지목때부터 사실상 破門"

황대진 기자 2016. 3. 24. 03: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총선 D-20] - 유승민 사태 왜 이렇게까지 黨 "志士 포장 안된다" 시간 끌기 劉는 계속 버티며 '피해자' 부각 靑 "빨리 매듭짓길 원했는데.. 이렇게까지 될 줄은 몰랐다"

새누리당이 총선에 부정적 영향이 미칠 것을 감수하면서 '꼼수'까지 동원해 유승민 의원을 당 밖으로 몰아낸 것을 두고 "어쩌다가 일이 이 지경까지 됐느냐"는 얘기가 당 주변에서 나온다. 당 핵심 관계자는 23일 "유 의원의 공천 탈락은 사실 오래전부터 정해진 수순"이라고 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유 의원을 '배신의 정치'로 지목할 때부터 이미 예고됐다는 것이다.

유 의원 공천 문제를 공천 심사 마지막 날인 23일까지 끌고간 것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도 "이렇게까지 될 줄은 예상하지 못했다"고 했다. 한 관계자는 "지난주에도 '빨리 매듭짓는 것이 좋겠다'는 메시지가 당 쪽에 전달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유 의원 공천 불가'라는 청와대의 입장은 일관됐다고 한다. 그 이유에 대해 박 대통령의 한 참모는 "그것은 원칙의 문제"라며 "당정(黨·政) 간에 혼란만 일으켰던 사람이 여당 의원이 될 수 있느냐"고 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의 뜻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유 의원은 작년 초 원내대표를 맡은 후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며 박 대통령과 각을 세웠고, 이어 '국회법 파동'을 거치며 청와대와 결정적으로 틀어졌다.

박 대통령이 유 의원을 파문(破門)한 가운데 드디어 총선 공천 여부를 결정할 시기가 도래했다. 하지만 여권의 그 누구도 박 대통령에게 "유 의원을 공천 탈락시키면 여론이 좋지 않으니 재고해달라"고 말할 수 없었다. 한 관계자는 "청와대가 요구한 정답이 이미 나와 있는데 무슨 얘기를 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이런 가운데 공천위는 어떻게 하면 후폭풍을 최소화하며 유 의원을 공천 배제 할지만 고민해 왔다. 이 무렵 여권 핵심에서는 "유 의원이 가장 바라는 것이 자기 목을 쳐달라는 것 아니겠느냐. 절대 그렇게는 못 해준다"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다. "유 의원이 '불의에 항거한 지사(志士)'처럼 포장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후 당내에서는 유 의원의 자진 탈당을 권유하는 목소리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유 의원은 자기 발로 당을 나간 '배신자'가 되기보다는 정권에 의해 잘려나간 '피해자'가 되길 원하면서 당과 '치킨게임'을 시작했다. 이 게임은 결국 후보 등록일(24일) 이후에는 탈당 후 무소속 출마가 불가능하다는 선거법 조항에 묶인 유 의원의 탈당으로 끝났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