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이 '배신의 정치' 지목때부터 사실상 破門"
새누리당이 총선에 부정적 영향이 미칠 것을 감수하면서 '꼼수'까지 동원해 유승민 의원을 당 밖으로 몰아낸 것을 두고 "어쩌다가 일이 이 지경까지 됐느냐"는 얘기가 당 주변에서 나온다. 당 핵심 관계자는 23일 "유 의원의 공천 탈락은 사실 오래전부터 정해진 수순"이라고 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유 의원을 '배신의 정치'로 지목할 때부터 이미 예고됐다는 것이다.
유 의원 공천 문제를 공천 심사 마지막 날인 23일까지 끌고간 것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도 "이렇게까지 될 줄은 예상하지 못했다"고 했다. 한 관계자는 "지난주에도 '빨리 매듭짓는 것이 좋겠다'는 메시지가 당 쪽에 전달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유 의원 공천 불가'라는 청와대의 입장은 일관됐다고 한다. 그 이유에 대해 박 대통령의 한 참모는 "그것은 원칙의 문제"라며 "당정(黨·政) 간에 혼란만 일으켰던 사람이 여당 의원이 될 수 있느냐"고 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의 뜻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유 의원은 작년 초 원내대표를 맡은 후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며 박 대통령과 각을 세웠고, 이어 '국회법 파동'을 거치며 청와대와 결정적으로 틀어졌다.
박 대통령이 유 의원을 파문(破門)한 가운데 드디어 총선 공천 여부를 결정할 시기가 도래했다. 하지만 여권의 그 누구도 박 대통령에게 "유 의원을 공천 탈락시키면 여론이 좋지 않으니 재고해달라"고 말할 수 없었다. 한 관계자는 "청와대가 요구한 정답이 이미 나와 있는데 무슨 얘기를 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이런 가운데 공천위는 어떻게 하면 후폭풍을 최소화하며 유 의원을 공천 배제 할지만 고민해 왔다. 이 무렵 여권 핵심에서는 "유 의원이 가장 바라는 것이 자기 목을 쳐달라는 것 아니겠느냐. 절대 그렇게는 못 해준다"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다. "유 의원이 '불의에 항거한 지사(志士)'처럼 포장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후 당내에서는 유 의원의 자진 탈당을 권유하는 목소리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유 의원은 자기 발로 당을 나간 '배신자'가 되기보다는 정권에 의해 잘려나간 '피해자'가 되길 원하면서 당과 '치킨게임'을 시작했다. 이 게임은 결국 후보 등록일(24일) 이후에는 탈당 후 무소속 출마가 불가능하다는 선거법 조항에 묶인 유 의원의 탈당으로 끝났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북 경찰, 역대 최대 피해 낸 경북 의성 산불 수사 본격화
- 국방부 “산불 진화에 오늘도 장병 600명·헬기 49대 투입”
- 네이버 산불 모금 100억 돌파…카카오도 95억 모금
- 與 “野, 재난 수습 말하면서 韓 탄핵 준비…재난 극복 집중해야”
- 尹 탄핵 반대 집회 광화문·여의도서 열려
- “싱크홀 사고 탓에 딸 학교 대체 급식” 불만 글 쓴 김경화, 결국 사과
- 법원 “명지대 입학정원 감축 중복처분 위법...2차 처분 취소해야”
- 경북 산불 사망자 2명 추가...26명으로 늘어
- 경기체고, 22년 만에 고교 마라톤 男·女 통합 정상
-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