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가산점 부활하나? 국회서 불꽃 논쟁
【서울=뉴시스】강세훈 기자 = 군 가산점제도가 정치권에서 다시 입법 논의되면서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새누리당 한기호 의원 주최로 1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군 가산점제도 부활, 그 해결책을 찾는다' 토론회에서 국방부와 병무청, 국가보훈처, 한국국방연구원, 장애인협회 측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열띤 찬반 논쟁을 벌였다.
애초 참석기로 했던 여성부 측이 토론회를 앞두고 불참의사를 밝힌 가운데, 국방부와 병무청 측은 찬성 의사를, 여성부 측은 강력한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군 가산점제는 1961년 '군사원호대상자고용법'이 신설되면서 처음으로 도입됐다. 당시 7~9급 공무원 채용 시험 때 제대군인에 한해 과목별 만점의 3~5%를 얹어주도록 했다. 이런 법 조항에 대해 1999년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 군 가산점제는 폐지됐다.
2008년부터 다시 논의되기 시작했으면 찬반 논쟁이 이어져 왔고, 최근 한 의원이 병역 의무를 마치거나 제대 군인이 국가 등 취업 지원 실시기관에 응시하면 과목별 득점의 2% 범위에서 가산점을 주도록 하는 내용의 병역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면서 다시 논쟁이 불붙는 양상이다.
한 의원은 "최근 국가보훈처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83.5%가 '군 가산점제도'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민의 대다수가 '군 가산점제도' 부활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안전행정부 시뮬레이션 결과 2%의 가산점을 줬을 때 7급 공무원은 합격자의 9.7%가 변동되고, 9급은 11%의 변동이 오기 때문에 실제로 많은 인원의 변동이 오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날 참석한 국방부 이남우 보건복지국장은 "위헌 결정을 반대로 해석하면 입법 정책적 목적 자체가 헌법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도입하면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이라며 "결국 헌법 정신에 어긋나지 않는다면 입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 의원이 발의한 법안에 찬성한다"며 "다만 수혜의 범위를 명료화할 필요가 있다. 이중수혜 방지를 위해 '가점'과 '경력산정' 중 택일토록 한 부분은 다른 피해에 대한 보상이기 때문에 중복혜택이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병무청 김태화 입영동원국장은 "헌법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시대상황을 반영해서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국민이 이 제도에 대해 공감을 표시하고 있다"고 군 가산점제 도입에 찬성의사를 밝혔다.
한국국방연구원 조영진 인력정책연구실장도 "젊은 나이에 2년 동안 의무적으로 복무하느라 취업준비를 못 해서 받는 불이익을 보상해주지 않는 자체가 위헌"이라며 "사실은 '군복무피해보상법'"이라고 말했다.
반면 이문희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차장은 "위헌 결정이 난 사안에 대해 다시 논의한다는 것에 대해 굉장히 유감"이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그는 "군가산점제는 헌법에 근거도 없고, 장애인처럼 군대에 갈 수 없는 사람에게는 불평등한 요인으로 평등권에도 위반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 83.5%가 찬성한다'는 한 의원 주장과 관련해서도 "통계는 어떤 목적을 갖고 작성했느냐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진다"며 여론조사 자체에 의구심을 나타냈다.
kangse@newsis.com
<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옷 다 벗고"…김수현, 17세 김새론에 보낸 카톡
- "김수현, 처음에 김새론 교제 인정했어야…잘못 대응" 변호사 지적
- 서효림, 시어머니 김수미 떠나보내고 5개월 만에 좋은 소식
- '아빠 어디가' 윤후, 송지아에 고백 "너 좋아했나 봐"
- '46억家' 황정음, 붕어빵 아들과 "해피 주말"
- 최준희, 96→44㎏ 다이어트 후 과감 노출…뼈말라 됐네
- 1200억 복권 당첨됐는데…'한 푼도 못 받을 위기' 처한 美 여성, 왜?
- 10년간 간호했던 남편 숨지자…전처 자식들 "혼인신고 안했으니 집 비워주세요"
- '7억 도박' 슈, 가수 컴백 예고 "좋은 곡 받았다…가사 준비"
- 김부선 "이재명 무죄에 김샜다…피선거권 박탈당하길 바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