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정무수석' 때도 KBS 보도 개입
[경향신문] ㆍ‘세월호 보도 통제’ 청와대 해명…‘뻔뻔한 거짓말’
ㆍ국방부 자료 기초한 사실 보도에 ‘오보’ 딱지
ㆍ“해경 무슨 잘못” 따졌지만 한 달 뒤 ‘해경 해체’
청와대가 2014년 KBS의 세월호 보도에 노골적으로 개입한 사실이 제기된 후 청와대와 이정현 전 청와대 홍보수석이 내놓은 해명 자체가 거짓말로 드러나며 논란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는 사태가 발생한 지 나흘째 공식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주말을 지나며 청와대 측이 내놓은 해명은 당장 3가지 지점에서 사실과 다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우선 “홍보수석으로서 위기상황에서 언론에 협조를 구하는 것이 제 역할이다. 사실과 다른 뉴스가 나가면 당연히 잘못됐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는 이 전 수석의 해명이다. 3일 김시곤 전 KBS 보도국장이 남긴 ‘국장업무일일기록’(비망록)에 따르면 이 전 수석은 홍보수석이 되기 전에도 KBS 보도에 개입했다. 비망록에는 이 전 수석이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재직하던 2013년 5월13일에도 김 전 국장에게 전화를 걸어 “대통령 방미 성과를 잘 다뤄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전 수석과 김 전 국장 간 통화 후 KBS에서는 윤창중 전 대변인의 워싱턴 성추행 관련 보도가 타 방송사에 비해 크게 축소됐다.
‘사실관계가 달라 대응한 것’이라는 이 전 수석의 해명도 맞지 않다. 이 전 수석이 문제 삼았던 2014년 4월30일자 보도는 당시 국방부가 국회에 제출한 답변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보도에 적시된 사실관계와 국방부 답변자료 내용이 일치한다. 이 전 수석은 세월호 참사 전인 2013년 10월에도 김 전 국장에게 전화를 걸어 “청와대 뉴스를 맨 마지막에 편집한 것은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사실관계를 정정하는 ‘본연의 임무’와는 거리가 멀다.
이 전 수석이 김 전 국장과의 통화에서 “해경이 잘못한 것처럼 몰아가고 있다”고 따진 것도 사실관계와 다르다. 세월호 참사 당시 검찰은 해경에 대한 수사를 벌여 김경일 당시 해경 123정장을 퇴선방송 명령 등 초기 구조활동을 제대로 하지 않은 혐의로 기소했고 대법원은 지난해 징역 3년형을 확정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해경이 즉각적으로 인명 구조활동을 펼쳤다면 희생을 크게 줄일 수도 있었다”며 해경을 해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홍보수석의 KBS 세월호 보도개입은 통상업무’였다는 이원종 대통령 비서실장의 국회 운영위원회 발언에 대해 “청와대의 언론관은 유신시대로 돌아가는 것이냐”고 일제히 비판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 해명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지만 ‘통상적 업무 차원’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며 입을 닫고 있다. 박 대통령은 4일 주재하는 국무회의에서도 이와 관련한 별도의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남지원·김한솔 기자 somni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청와대·이정현의 3가지 거짓말]이 와중에..이정현은 '당권 도전' 전국 투어
- [청와대·이정현의 3가지 거짓말]일상적 개입·부처간 엇박자·대통령 담화도 무시 '억지 해명'
- [위기의 공영방송]"세월호 보도 통제는 반헌법적 행위 한 것" 유족·시민 '국민촛불' 행사
- 보도 통제·신공항·서별관..청와대 사전에 '사과'는 없다
- 야 "땡전뉴스 못잖은 언론 통제가 본연의 임무인가"
- 영남 산불 사망 30명·부상 43명, 피해 면적 482㎢…의성 재발화 진화 중
- “파면될 때까진 나와야죠”…꽃샘추위에도 광장 메운 ‘탄핵 촉구’ 시민들
- 헌재 “피청구인 윤석열 파면” 선언할 때다 [김민아의 훅hook]
- 최상목, ‘환율 오르면 이익’ 미 국채 투자 논란…민주당 “언제 샀는지 밝혀라”
- 민주당 “권성동, 목적어 헷갈렸나…내란죄 묻겠다면 윤석열 고발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