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심판론 나오자.. "대통령으로서 할수 있는게 없었다"
|
하지만 총선의 책임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고, 인적 쇄신 요구도 일단 수용하지 않으면서 총선 패배와는 거리를 두려는 모습을 보였다.
○ ‘포스트 총선’ 해법 제시한 박 대통령
총선 다음 날인 14일 청와대가 대변인 명의로 “20대 국회가 민생을 챙기고 국민을 위해 일하는 새로운 국회가 되길 바란다”는 짧은 브리핑을 내놓자 정치권에서는 “박 대통령이 변화의 의지가 없다”는 평가가 나왔다. 박 대통령은 18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민의를 겸허히 받들겠다”고 했지만 해법은 제시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이 26일 3당 대표와의 정례적 회동 검토와 함께 사안별 여야정 협의체 수용 의사를 밝힌 것은 총선 이전과 달라진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 박 대통령이 국회를 방문했을 때 여야 지도부 등과 티타임을 가진 것을 제외하면 여야 대표와의 회동은 지난해 10월 22일 이후 열리지 않고 있다.
회동이 조기에 성사될지는 미지수다. 새누리당은 지도부 구성에 대해 내부 정리가 안 된 상황이고, 더불어민주당도 박 대통령 제안에 “검토해보겠다”는 정도의 반응만 내놨다.
박 대통령은 야당과의 만남에 대해 “얼마든지 만날 의향이 있는데 만나도 평행선으로 쭉 간다”고 말하기도 했다. 야당과 신뢰를 쌓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연정(聯政)에 대해서는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박 대통령은 “국민이 만들어준 틀 안에서 협조하고 노력을 해서 국정을 이끌어 가고 책임을 져야 한다”며 “정책이나 생각, 가치관이 엄청 다른데 막 섞이게 되면 이것도 안 되고 저것도 안 된다”고 지적했다.
개헌에 대해서는 “지난 선거에서 ‘우리가 이번에 되면 개헌을 주도하겠다’든지, 그런 ‘개’자도 안 나왔다”며 “경제가 지금 국민들의 가장 큰 관심사”라고 지적했다. ‘개헌 블랙홀’ 발언과 같은 맥락이다. 다만 “경제가 살아났을 때 국민들의 공감대를 모아서 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며 논의의 문을 완전히 닫지는 않았다.
○ 총선 책임론은 비켜간 박 대통령
박 대통령은 이날 “협력과 소통을 잘 이뤄나갈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하겠다”며 ‘통치 스타일’을 바꾸겠다는 뜻을 간접적으로 밝혔지만 총선에 대한 책임은 인정하지 않았다.
‘총선 결과가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심판 아니냐’는 질문에 박 대통령은 “대통령중심제라고 하지만 대통령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었다”며 “이건 꼭 해야만 경제를 살릴 수 있겠다 호소도 하고 국회를 찾아가기도 했지만 뭔가 되는 게 없었다”고 했다. 국회가 입법에 협조하지 않아 국정을 제대로 운영할 수 없었다는 취지다. 이번 총선에서 3당 체제가 탄생한 것에 대해서도 “뭔가 변화를 일으켜 민생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경제 활성화에도 국회가 힘이 되는 쪽으로의 변화를 국민들이 바란 것 아니냐”고 해석했다. 총선 민의는 양당체제하에서 서로 밀고 당기면서 되는 일이 없는, ‘식물국회’에 대한 변화 요구였다는 것이다. 친박(친박근혜)의 공천 주도 논란에 대해서도 “사실은 내가 친박을 만든 것은 없다”며 농담조로 이야기한 뒤 “친박, 탈박, 짤박이라는 말 자체가 선거 때 자기의 선거 마케팅으로 만든 것”이라고 일축했다.
인적 쇄신 요구에 대해서는 ‘지금은 때가 아니다’라는 이유로 일단 받아들이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경제와 안보의 ‘이중 위기’를 설명하며 “국면을 전환하기 위해 내각을 바꾼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고 했다. 하지만 여권 내에서는 시기의 문제일 뿐 전격적인 개각 및 청와대 개편 가능성은 남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장택동 기자 will71@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오늘의 인기 무료 만화 '빅툰']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자기정치에 비애".. 유승민 복당 선그어
- "밤잠 안자고 법안 고민, 엄청난 恨 남을것 같아"
- "3당대표와 회동 정례화.. 개각 생각안해"
- "양적완화 긍정 검토.. 법인세 올리면 기업들 다 도망갈 것"
- "김영란법 이대로는 경제 위축시켜.. 국회서 재검토를"
- [김순덕의 도발]이재명의 ‘신뢰 리스크’는 어찌 넘을 건가
- 산청·하동 제외 주불 진화…사망자 30명으로 늘어
- 미얀마 강진, 최소 1002명 사망…전날보다 7배 급증
- 정형식·조한창·김복형, 방통위원장·감사원장·총리 탄핵 사건서 같은 입장
- 野 “내일까지 마은혁 임명 거부땐 한덕수 다시 탄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