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부친 김용주 1961년에도 '친일' 발언

2015. 11. 2. 01: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국회 신상발언에서
“재일교포 생활 못해서 일본으로 가”
징집 등 외면 자발적 도일 표현

“북송, 일국민 감정 악화시킨 결과”
한인 북송문제 한인 탓으로 돌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선친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이 1961년 국회에서 일본을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가 야당과 언론 등으로부터 ‘친일 행위’라는 비판을 받았던 것으로 1일 확인됐다.

국회 누리집에 실린 1961년 1월24일치 본회의 회의록을 보면, 당시 민주당 소속 초선 의원이던 김용주는 반일감정이 높은 상황에서 일본 경제인들을 초청하려다 무산되자 초청 의도를 해명하기 위해 신상발언을 했다. 그는 “60만 재일교포가 일본의 사회감정과 사회대우 밑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 사람들이 (한국에서) 생활을 못해서 일본으로 건너가 있는 사람들인데, 이 사람들의 생활복지가 순전히 일본 사람들의 대우 여하에 달려 있다”고 했다. 당시 일본이 재일동포 국적을 박탈하고 강제퇴거를 추진하자 정부가 “징집 등 강제로 끌려간 특수성을 인정하라”며 일본을 압박하던 상황에서 김용주는 이들이 자발적으로 건너간 것처럼 일본 편에서 발언한 것이다. 또 “한국 유학생들이 공납금을 못 내도 일본 대학이 등교를 허가한다”는 등 일본이 한인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는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북송 문제로써 우리 민족의 감정을 극도로 격분시켰지만 이것도 일본 국민의 감정을 악화시킨 결과”라며 일본의 재일한인 북송 문제도 한인 탓으로 돌렸다. 그의 발언 직후 이교선 무소속 의원은 “친일권고 발언 같다. 나도 10년간 일본에서 공부했는데, 일본이 한국 사람을 애호해서 도와줬다면 그 증거를 대라”고 따졌다. 당시 <조선일보>는 다음날 신문에 “김 의원이 신상발언에서 극히 친일적인 언사를 했기 때문에 야단법석이 일어났다”고 보도했다.

김무성 대표는 1940년대 초부터 친일 행적을 보여온 부친의 친일 논란에 대해 “좌파들에 의해 친일파로 매도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신경숙 남편 “표절은 문학의 종말이 아니라 시작”
김용익 의원 “최루탄 쏘고 곤봉 들면 박정희 시대 재현”
[카드뉴스] 박근혜의 말은 박근혜로 반박할 수 있다
[화보] 유신의 추억, 쿠데타의 추억…권력 찬탈에 성공한 박정희
[화보] 스스로 달리는 ‘미래 자동차’ 총출동 “가고싶은 곳 어디세요”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 | [인기화보][인기만화][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