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억 들인 창조경제 무한상상실, 하루 평균 이용자는 11명
박근혜 정부의 핵심 정책인 창조경제 관련 사업으로 3년 간 86억 여원의 예산이 투입된 ‘무한상상실’의 하루 평균 이용자가 11명(2016년 상반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국의 ‘무한상상실’ 55곳(현재 운영 중 시설)에 대한 하루 평균 이용자 수는 2014년 6.42명, 2015년 9.35명, 2016년 상반기 11.64명이었다.
신용현 의원은 “극소수 거점 ‘무한상상실’에 이용자가 집중되고 중소도시의 거의 모든 소규모 ‘무한상상실’들이 하루 이용자가 10명이 안 되는 등 이용실적이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3년간 80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된 창조경제의 주요사업이 보여주기식 전시행정에 머문 것”이라고 비판했다.
‘무한상상실’은 국민의 창의성, 상상력,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과학 실험과 스토리 창작 등을 할 수 있도록 일상 생활주변에 설치한 창의 공간으로 현재 전국 55곳에서 운영 중이다.
이에 대해 미래창조과학부는 설명자료를 내고 "3D 프린터 등과 같은 장비 사용 및 관련 교육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무한상상실의 특성을 고려하면 이용자가 제한적인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또 "규모와 지역별 편차가 있지만, 운영 활성화를 위해 무한상상실 컨설팅단, 전국 및 지역협의회 운영 등 내실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전체 참여자 수는 계속 증가 추세이며, 향후 운영 미흡 기관을 정비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보급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김승현 기자
shyun@joongang.co.kr
▶ 일제, 강제 끌고간 소녀를 "도라지꽃" 불러…왜
▶ "해임안 유감" 朴대통령 발언에 야당 강력 반발
▶ 3살배기 딸 물에 던져 숨지게한 父 '징역 100년형'
▶ "바보처럼 살았어요" 고개 숙인 '무대' 김무성
▶ 펀치 한방에···최홍만, 불혹의 파이터 상대 1R KO패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