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야산 밑 밭 한가운데에 집지어 산다고?"

2013. 10. 31. 13: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땅 판 주민 헛웃음, "최근 25년 만에 김진태 쪽 나타나" '실패'했을지라도 당초엔 투기 목적..주민들 비난

땅 판 주민 헛웃음, "최근 25년 만에 김진태 쪽 나타나"

'실패'했을지라도 당초엔 투기 목적…주민들 비난

(여수=연합뉴스) 박철홍 기자 =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자가 부동산 투기하려 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전남 여수지역의 한 야산 밑 밭에서 주민 채모(72)씨를 만났다.

채씨는 25년 전인 지난 1988년 한 부동산 업자에게 여수시 율촌면 산수리 수전마을 인근 야산 밑 밭 두 필지를 판 당사자다.

그는 "두 달여 전 땅을 판 이후 한 번도 연락이 없던 땅주인이라는 사람들이 전화를 연달아 해왔다"고 말했다.

두 달 전은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식 문제가 불거지던 시점이다.

부산 사투리를 썼다는 남녀는 각각 채씨에게 전화를 걸어와 자신들의 땅에 나무를 심을 예정이니 "이제부터는 밭농사를 짓지 말아달라"고 통보했다.

며칠 뒤 채씨는 외지사람이 해당 필지를 둘러보러 온 것도 목격했다고 전했다.

50~60대가량으로 보이는 여성과 조금 젊어 보이는 남녀는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자 소유 땅을 비롯한 주변 땅을 자세히 둘러보고 갔다.

채씨는 이들 중 남성이 나이 들어 보이는 여성에게 "누나 내가 여기 땅 200평도 샀으니 여기서부터 여기까지 측량해서 나무를 심으면 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채씨는 현장을 방문한 세 남녀가 김 검찰총장의 부인이나 처남인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그러나 검찰총장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한 두 달여 전 25년 만에 땅주인이라는 사람들이 한꺼번에 연락을 해오고 직접 찾아온 것을 의아해했다.

땅 주인들은 1988년 땅을 판 이후 단 한 번도 얼굴을 내비친 적도, 심지어 연락을 해온 적도 없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해당 내용이 사실이라면 김 총장후보자 측이 검찰총장 교체를 예상하고 사전에 부동산 투기 의혹을 은폐하려 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함께 현장을 찾은 이모(41)씨는 "갑자기 땅주인이 나타나 소유권을 행사하겠다고 나선 데는 이유가 있는 것 아니겠느냐"며 "시점이 검찰총장문제가 불거진 때라 하마평을 예상하고 땅 투기를 감추려 한 것이라고 의심할 만하다"고 말했다.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자는 지난 30일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해 "초임 근무지였던 여수·순천 지역에 대한 인상이 좋아 은퇴 후에 살고 싶다는 생각에 구입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땅을 판 채씨는 이 말을 듣고 헛웃음을 지었다.

"여기는 돌풍이 많이 부는 곳이라 비닐하우스를 지어도 다른 곳보다 몇 배는 튼실하게 지어야 안 부서진다"며 더구나 야산 밑 밭 한가운데 땅에 집을 지어 살겠다는 것은 말이 믿기지 않는 눈치였다.

채씨는 25년 전 땅을 팔 시점은 더욱 개발이 안 돼 도로도 차가 다닐 수 없고 여수 도심에서 마을까지 오려면 1시간 이상 걸리던 때라고 말했다.

결국 김 후보자는 아무런 연고가 없는 지역에 산으로 둘러싸인 농지만 내려다보이고, 별다른 식수원도 없어 멀리서 지하수를 끌어다 농사를 지어야 하는 땅에 집을 지어 살겠다는 생각을 초임검사 시절 했다는 것이다.

채씨는 또 해당 밭을 팔 때 투기 열풍이 불었던 때라고 증언했다.

그는 어느 날 갑자기 서울의 부동산 업자가 연락을 해와 평당 7천원하는 땅을 시세의 열 배가 넘는 10여만원에 사갔다며 당시 주민들 대부분이 그렇게 농지를 팔아 현재 마을주변 농지 주인 80% 이상이 서울, 부산 등 외지인이라고 말했다.

당시 주민들은 율촌 산단이 들어서 마을 주변에 자동차 공장이 들어선다는 '고급정보'를 아는 이는 없었다.

25년이 지난 지금 그'고급정보'는 결국 거짓 정보였음이 드러났다.

시민 문모(31)씨는 "이는 땅 투기 의혹이 아니라 땅 투기 실패의혹으로 봐야 한다"며 "검찰총장 후보라면 도덕적으로라도 잘못한 부분을 인정하고 책임을 져야지 투기가 아니라고 국민을 바보 취급해서는 안 된다"고 쓴소리를 했다.

pch80@yna.co.kr

文측 "安, 단일화 패배 예상되자 후보직 사퇴" EBS, 구글 에릭 슈미트 회장 특강 31일 생중계 朴대통령 "선거개입 의혹 정확히 밝히고 문책" 클롭 감독, 獨축구 도르트문트와 2018년까지 재계약 한화증권 "양적완화 축소 연내 시행 가능성 여전" ▶연합뉴스앱

▶인터랙티브뉴스

▶화보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