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朴정권, 바른 역사인식 두려운 마음으로 민주주의 존중해야"

2016. 8. 29. 11: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1 운동, 임시정부로 지킨 민주주의…심각한 후퇴 부끄러워"

위안부 문제에 "10억엔에 역사지우려는 행태 개탄"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기자 =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29일 경술 국치일을 맞아 "최근의 심각한 민주주의 후퇴를 생각하면 순국선열들에게 부끄럽기 짝이 없다"며 "박근혜 정권은 바른 역사인식에서 출발한 두려운 마음으로 민주주의와 공화제의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민주주의는 우리 역사이자 정신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싣고 이같이 밝혔다.

문 전 대표는 "경술 국치일을 맞아 지금의 대한민국을 돌아본다. 106년 전 오늘 우리는 치욕스럽게 나라를 빼앗겼지만, 국치의 아픔을 딛고 오히려 민주공화정의 새 역사를 열어갔다"며 "대한민국의 역사가 참으로 자랑스러운 것이 바로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1917년 박은식 신채호 조소앙 등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들은 '대동단결선언'을 통해 '황제권 소멸'을 '민권의 시작'으로 규정했다. 새로 세울 나라는 민주공화정이 돼야 한다고 선언한 것"이라며 "3·1운동과 임시정부를 수립하면서도 새로 만들 국가체제를 민주공화정으로 한다고 분명히 규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나라를 빼앗긴 치욕을 민주주의의 첫 걸음으로 승화시킨 것"이라며 "우리 독립운동의 역사는 우리 민주주의의 역사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마련해 꽃피워 온 자랑스러운 민주주의를 우리는 잘 지켜나가고 있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문 전 대표는 "진정한 독립은 민주주의"라면서 "역사 발전의 종착지 역시 더 완전한 민주주의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그는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일본 정부가 10억엔을 출연하고 한국 정부가 이를 피해자들에게 지급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도 "고작 10억엔에 역사를 지우려는 행태가 개탄스러울 따름"이라고 비판했다.

문 전 대표는 지난 광복절에도 보수진영을 중심으로 한 '건국절 제정' 주장을 강력히 비판하면서 역사인식을 제대로 갖춰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문 전 대표는 당시 페이스북 글에서 "요즘 대한민국이 1948년 8월 15일 건립됐으므로 그날을 건국절로 기념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역사를 왜곡하고 헌법을 부정하는 반역사적, 반헌법적 주장"이라며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스스로 부정하는 얼빠진 주장"이라고 질타했다.

hysup@yna.co.kr

☞ 회사 내부비리 고발한 직원, 42억원 '포상금 대박'
☞ 쥬얼리 출신 이지현, 결혼 3년 만에 협의 이혼
☞ 수영 국가대표 코치 '훔치고, 때리고, 난동피워' 체포
☞ 성범죄 전력 5차례…또 집행유예로 풀려난 '양말변태'
☞ '코미디언 대부' 구봉서 "이제 천국을 웃기러 갑니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