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배로 되갚아주겠다"..이명박 대통령 왜 진노했나?
<양춘병 기자@madamr123>
23일 밤 8시 35분.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은 이기식 해군 준장의 종합상황보고를 받고 "막대한 응징을 해야 한다", "(군이)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 "교전수칙을 뛰어넘어야 한다" 등의 강도높은 발언들을 쏟아냈다. '대응'보다 '응징'을 강조했고, '용납할 수 없다'는 표현도 네 차례 등장했다.
지난 3월 천안함 사태 발생 직후 "예단하지 말고 과학적인 수사를 지켜보자"던 차분한 초기 대응 기조와 달리 이날은 시종 단호하고 격앙된 분위기를 보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24일 "천안함 때와는 달리 북한이 노골적으로 영토를 침범하고 민간인을 무차별 공격한 데 대해 대통령께서 크게 격노하셨다" 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도발 대응책도 '구호적' 성격이 짙었던 5.24(천안함 대응)조치에 비해 보다 구체화된 모습을 띨 것으로 예상된다.
5.24 당시 정부는 ▷해상교통로 폐쇄 ▷남북간 교역과 교류 중단 ▷적극적 억제 원칙 견지 ▷무력침범시 자위권 발동 ▷UN안보리 회부 등의 조치를 내놨다.
그러나 연평도 도발 초기 대응과정에서 확인된 것처럼 경제ㆍ사회적 파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정부로서는 적극적 억제와 자위권 발동 등의 초강경 조치는 왠만해서 실행에 옮기기 어렵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다른 예산을 줄이더라도 서해 5도 지역의 예산을 늘려 화력을 몇 배 더 보강하고 추가도발시 몇 배의 응징에 나설 것"을 지시했다. "성명서나 회담 같은 행정적인 것보다는 (군이) 행동을 보이라"는 주문도 빼놓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더 이상 경고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 라며 "아직 북한이 공격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만큼 당분간 북과 관련된 일체의 지원이나 교류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이날 오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더 한층 공고히 한다는데 뜻을 같이했다.
이 대통령은 월터 샤프 한미연합사령관에게도 "북한이 또 한 번 도발하면 한미가 힘을 모아 다시는 도발하지 못하게 응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천안함 사태 발생 5개월여가 지난 후부터 대북 물자 반출과 5개종단 종교인 방북, 북한산 수산물 반입 등을 허용했으며 이산가족 상봉을 지렛대로 남북관계 개선 노력을 보여왔다.
yang@heraldm.com
☞[소셜커머스] "열선도 전자파도 없다 " … 전기장판계의 '종결자' 나왔다
-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